IBK기업은행 전경. 사진=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 전경. 사진=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은 대규모 부당대출 사태 이후 수립한 전사적 쇄신 계획의 조기 정착을 위해 내부 제도와 조직문화를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쇄신 계획은 △여신 프로세스 △내부통제 △조직문화 △검사업무 △경영진 책임 등 5개 부문, 총 16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현재까지 13개 과제를 완료했다. 나머지 과제들도 계획에 따라 이행 중이다.

기업은행은 이달부터 이해상충 예방을 위한 통제 강화 방안을 시행 중이다. 부점장급 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가족정보를 자율적으로 등록받고 있으며 등록된 정보는 전결권 통제에 활용된다. 가족 관련 여신은 시스템에서 영업점장의 전결이 제한되고, 심사센터 또는 본부 여신심사부의 심의·의결을 거치도록 했다.

여기에 여신 의사결정 단계마다 임직원 가족 또는 퇴직직원 관련 여부를 점검하는 이해상충 체크리스트를 신설, 감리 대상도 이해관계인 관련 여신까지 확대했다.

준법 제보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부 독립 제보 채널을 도입하고, 제보자 보호 규정을 강화했으며 비위 행위자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내부 규정에 명시했다.

기업은행은 이달 중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감사자문단을 발족하고, 여신문화개선팀을 신설해 내부통제 체계와 업무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점검·개선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월에는 외부전문가 중심의 ‘IBK 쇄신위원회’를 출범시켜 네 차례 회의를 거쳐 각 과제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실행방안을 논의해왔다. 쇄신위원장인 정순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번 쇄신안은 제도적 기반을 완성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지속적인 점검과 실행력이 관건”이라고 평가했다.

기업은행은 제도의 현장 안착을 위해 부점장 대상 리더십 교육과 경영진 중심의 현장 소통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쇄신안 추진 배경과 필요성을 담은 안내 영상을 제작해 전사적 공감대 형성에도 나섰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이 조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소통을 지속할 것”이라며 “이번 쇄신을 계기로 금융사고를 방지하고,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기업은행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