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한글박물관은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과 공동으로 기획특별전 '사투리는 못 참지!'를 오는 9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 동명 전시의 첫 번째 지역 순회전시로, 강릉의 시 승격 70주년을 기념해 마련됐다.
전시에서는 방언 관련 문헌, 신문, 문학, 영상, 음성 등 180여점의 자료가 공개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돼 1부 '이 땅의 말'에서 방언의 시대별 인식 변천과 팔도 방언의 말맛을 소개한다.
2부 '풍경을 담은 말'에서는 문학 작품과 기록 속 방언을 통해 방언에 담긴 삶의 풍경을 그려보며, 3부 '캐어 모으는 말'에서는 방언 보전을 위한 노력과 기록유산으로서 가진 한글의 가치를 조명한다.
박물관에 따르면 강릉은 하나의 시(市)를 방언권으로 분류할 수 있을 만큼 독자적인 언어문화가 형성돼 있다. 표준어로 설명할 수 없는 독특한 어휘와 옛 국어의 흔적을 간직한 강릉 방언은 '두시언해', '경성유록' 등의 자료를 통해 만날 수 있다.
강릉에서는 1993년부터 매해 강릉단오제 기간 중 '강릉 사투리 경연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강릉말(사투리)보존회는 강릉 방언 자료 발간, 강릉 사투리 도전 골든벨, 퀴즈 대회 개최 등 강릉 방언 알리기에 앞장서고 있다.
전시 기간 중 7~8월 금·토요일과 공휴일 저녁에는 오죽헌·시립박물관 야외공연장에서 야간 상설 공연 '풍류야'도 펼쳐진다. 강릉 농악, 전통 마당극, 국악 등의 공연이 예정돼 있으며, 공연 기간에는 야간에도 전시장이 운영돼 전시와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다.
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장은 "강릉 방언은 우리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강릉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보물 창고와도 같다"며 "이번 전시가 강릉말을 비롯한 방언의 가치를 알리고 언어 다양성과 보전에 대해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한글박물관은 2025년 한글문화 향유 기회 증진을 위해 공주, 김포, 구미, 강릉, 부산, 제주 등 7개 지역을 돌며 순회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사투리는 못 참지!'는 이번 강릉 순회전시에 이어 9월 22일부터 12월 7일까지 제주 설문대할망전시관에서 만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