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면서 투자자 단기자금이 파킹형 ETF로 몰리고 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운용자산 규모가 클수록 유동성과 안정성이 높아 순자산이 큰 상품에 자금이 집중되는 추세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가 상장 약 9개월 만에 순자산 6조원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상품은 올해 2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유입됐고 개인투자자도 1907억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외 정치·경제 불확실성, 금리 인하 기조 속에서 단기 자금 운용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초단기 채권·기업어음CP 등 신용도 높은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MMF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일반 MMF와 유사한 포트폴리오를 가지면서도 운용 규제 부담이 적어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투자대상을 엄격히 제한하고 신용등급 높은 자산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안정성을 높였다.
ETF.com과 JP모건 등은 단기 금융시장 MMF의 경우 운용자산 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자산 분산이 가능해 유동성과 안정성이 동시에 높아진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MMF 상품 선택 시 운용 규모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순자산 6조305억원으로 국내 상장 971개 ETF 중 순자산 4위, 전체 단기자금 파킹형 ETF 가운데 최대 규모다.
기준금리 연 2.75%로 낮아진 상황에서 일반 MMF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어 기관·개인투자자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8월 상장 후 연 환산 수익률 3.61%를 기록하며 단기 자금 운용을 고려하는 기관투자가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1주당 10만원으로 상장돼 있으며, ETF 특성상 5원 단위 호가로 거래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상장 이후 현재까지 당일 고가와 저가 차이가 5원 이내로 가격 변동 폭이 작아 투자자는 원하는 금액만큼 손쉽고 효율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
윤성인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단기 안전자산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투자자에게 안정적이면서도 유연한 단기 자금 운용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삼성자산운용 'KODEX 골드선물(H)' 연초 이후 27.7% 수익률 반짝
- 삼성운용 '삼성한국형TDF 환헤지(H)' 시리즈 수익률 선방했다
-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 ETF 신규 상장
- 삼성운용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올 들어 개인 순매수 유입 지속
- 삼성자산운용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순자산 3천억원 돌파
-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 대표지수 ETF 2종, 유보 배당금 하반기부터 분배"
- 삼성자산운용, 세계 최초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 선보인다
- 삼성카드, 삼성자산운용 'KODEX머니마켓액티브' 2천억원 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