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현대자동차는 올 1분기 매출 44조4078억원, 영업이익 3조6336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액은 판매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서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을 통해 8.2%를 기록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79.8%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관련 비용 및 연구비 증가 등으로 늘었으나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와 동등한 12.0%를 나타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4646억원, 3조 3822억원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올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0만112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6%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작년 신차 양산 대응을 위한 아산공장 셧다운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6만6360대가 판매됐다. 미국 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24만2729대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외 환경 악화로 전체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83만4760대로 집계됐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EV 판매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2426대를 기록했다. 이중 EV는 6만4091대, 하이브리드는 13만7075대다.
현대차는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향후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등이 경영 활동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여러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이러한 경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는 동시에 각 시장 별 현지화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적극 실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현대차는 또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기초해 2025년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주당 2500원으로 책정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2023년 발표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의거해 '발행주식 1% 소각'과 2024년 실시한 주주가치 제고 목적 매입 '자기주식 소각'을 동시에 실시하는 주주환원 방안을 발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지속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현대차·기아, 인도공과대와 손잡고 전기차 배터리 기술 개발
- 현대자동차, '2025 코나' 출시… 2478만원부터
- 현대자동차·기아,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개최
- 현대차, '장애인 고용 확대' 앞장 선다… "ESG경영 실천 지속 노력"
- 현대차그룹, 포스코그룹과 철강·이차전지 분야 협력한다
- 현대로템, 페루 국방기술전서 K2 전차 전시
- 현대차·기아, 협력사 채용 지원 프로그램 '2025 Here We GO!' 실시
- 현대차 정몽구재단, '온드림 아츠클래스' 참여 교사 50명 모집
- 현대차·기아 SUV 10대 중 4대는 하이브리드…'전기차 캐즘' 속 선택
-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경영 투명성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