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미국 산호세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행사 'GTC 2025'에 참석해,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연내 동남아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계획을 21일 밝혔다.

김 대표는 행사 중 마련된 '소버린 AI 서밋' 세션에서 발표자로 나서, 비영어권 언어 기반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했다. 또 네이버가 구축한 'AI 밸류 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제 소버린 AI 구축 사례들을 공유했다.

특히 네이버는 AI 서비스부터 데이터, AI 백본, 슈퍼컴퓨팅 인프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까지 AI 밸류 체인 전 영역에 걸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각국 정부나 기업의 기술 성숙도에 맞춰 맞춤형 소버린 AI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AI가 이제 실질적인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히며, 고령화 사회의 독거노인을 위한 AI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 사례를 공유했다. 또 보안이 중요한 국가 기반 산업 사례로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은행의 '뉴로클라우드'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김 대표는 "각 국가와 기업이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자체적인 AI 역량 및 소버린 AI가 필요하고 네이버는 이러한 기업, 국가들을 적극 지원할 것"며 "네이버와 같이 AI 밸류 체인 전 과정을 경험해본 기업뿐 아니라 엔비디아를 포함해 AI 밸류 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기업들이 생태계를 만들어 협업해야 한다"이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와 엔비디아는 작년 소버린 AI 구축을 향한 양사간 공감대 형성 이후 실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다. 특히, 동남아 시장을 타겟으로 거대언어모델(LLM),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등 현지에서 소버린 AI 구축을 함께할 수 있는 파트너를 같이 발굴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올해 안에 가시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낸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