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단기채권이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규모가 2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법인 판매분을 포함한 리테일(소매) 판매 규모는 5400억원으로, 전체 채권 판매잔액 6000억원 중 대부분이 개인과 일반법인에 판매됐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3일 기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CP),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잔액은 총 59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개인 투자자 판매 규모는 2075억원(676건), 일반법인 판매 규모는 3327억원(192건)으로 조사됐다. 기술·전자·해운업 등을 영위하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홈플러스 단기채권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가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단기채권을 판매한 것이 처음 확인되면서 불완전 판매 의혹이 제기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준비하면서도 채권을 발행해 개인 투자자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면, 동양·LIG 사태처럼 대형 형사 사건으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난달에만 11차례에 걸쳐 1807억원의 단기채권을 발행했다. 세부적으로 △ABSTB 1517억원(4회) △단기사채 160억원(4회) △CP 130억원(3회) 순이다. 특히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하락을 통보받은 지난달 25일 이후에도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해 의혹이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 매장을 기초 자산으로 편입한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및 부동산 펀드에서도 개인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홈플러스는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방식으로 자산을 현금화한 후 임차해 사용해왔으며, 리츠는 홈플러스로부터 임대료를 받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구조다. 만약 홈플러스가 임대료 지급을 중단하면 투자 손실이 현실화될 수 있다. 정부는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 자산으로 둔 리츠와 펀드 규모가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사전에 인지했음에도 단기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