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상장
삼성자산운용은 17일 월배당상품인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밝혔다.
금융고배당TOP10에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지속적인 배당지급률 확대 등이 기대되면서 주가상승 또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금융주들 중에 저PBR, 고배당수익률, ROE상위, 배당 연속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0개 종목을 편입했다.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IBK기업은행, 삼성화재, DB손해보험,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금융지주 등이 담겼다.
이 상품은 높은 배당수익과 옵션프리미엄을 합쳐 연 15%(월 1.25%) 월배당을 목표로 한다. 금융고배당TOP10의 최근 4개년 평균 배당수익률은 5%를 넘는다. 옵션비중을 30%로 고정해도 대부분 목표 분배율을 맞출 수 있어 일반 커버드콜 상품들에 비해 주가 상승에 따른 시세 참여율을 높였다.
또한 국내 파생상품을 활용해 옵션프리미엄 수익을 얻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해외 투자형 국내 커버드콜상품의 경우 배당소득 및 시세 차익이 모두 과세 대상인 만큼 일반 계좌에서 투자해 2000만원 수익이 발생할 경우 종합과세를 적용 받는 단점을 크게 해소했다.
매주 단위로 코스피200 위클리옵션을 매도해 연 10% 수준의 프리미엄 수익을 추구한다. 세법상 국내 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국내 주식의 시세 차익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낮은 세율로 분배금을 수령할 수 있고 순수 시세 차익 또한 비과세를 적용 받게 된다. 월분배금은 매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지급한다.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ETF 신규 상장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거래소에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17일 밝혔다.
CD금리플러스액티브는 매일 쌓인 금리를 월분배금으로 지급하는 월배당 금리형 ETF다. CD91일물 수익률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대비 상승하거나 보합인 경우 최대 연 0.1%p 수준의 추가금리까지 가산해 지급한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하락할 경우에는 기본이 되는 CD91일물 금리만 지급하는 구조다.
기존 금리형 ETF와 달리 매일 쌓인 이자를 매월 말에 전부 분배한다. 투자자들은 꾸준한 이자수익과 월분배를 통해 고금리, 고물가, 고변동성 장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총보수는 연 0.0098%로, 국내 상장된 금리형 ETF 중 최저 수준이다. 금리형 ETF 특성상 보수 등 기타 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커, 투자자들의 실질수익률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정 조건 충족 시 추가금리를 지급하기 때문에 기존 금리형 ETF 대비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CD금리플러스액티브는 퇴직연금(DC, IRP) 계좌에서 100% 투자 가능하다. 금리형 기반 월배당 상품으로, 연금계좌에서 투자 시 꾸준한 현금흐름을 구축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연금계좌 특성상 과세이연 효과는 물론 향후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3.3~5.5%의 낮은 연금 소득세가 적용돼 더 높은 실질수익률이 기대된다. 또한 ETF 특성상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고 매매 비용이 적어 투자 대기자금 등 현금성 자산을 활용하는 ‘파킹형 ETF’로도 활용 가능하다.
미래에셋운용은 해당 ETF 신규 출시를 기념해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상장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 KB증권, LS증권에서 해당 ETF의 일 거래 조건을 충족한 일부 고객에게 문화상품권이 증정된다. 17일부터 31일까지 TIGER ETF 홈페이지에서는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ETF 보유 이벤트도 진행된다.
한국투자미국S&P500동일가중모레드림 펀드 출시
한국투자신탁운용은 SC제일은행에서 한국투자미국S&P500동일가중모레드림 펀드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펀드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헤지하는 환헤지형(H)으로 출시됐다.
해당 펀드는 S&P500 동일가중 지수에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다. S&P500 동일가중 지수는 S&P500을 구성하는 500개 종목에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하는 지수로서,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우량한 기업군에 투자하면서도 소수 종목에 대한 높은 집중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수다.
동일가중 방식으로 S&P500 지수에 투자하면 주요 투자 업종은 산업재, 금융, 헬스케어, IT 등으로 분산된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투자할 경우 시가총액이 높은 특정 업종으로 쏠림이 강해져 투자 업종은 정보기술(IT) 중심으로 제한된다.
환매대금 지급도 빠르다. 해당 펀드는 이름의 ‘모레드림’을 따라 5시 이전 환매신청 시 오늘(T)로부터 3영업일(T+2) 후인 모레 기준가격을 적용해 이날 바로 환매대금을 지급한다(5시 이후 신청 시 4영업일 기준가로 4영업일 지급). 이는 주식 및 상장지수펀드(ETF)의 매매 결제 주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기존 공모펀드가 환매 신청 후 9영업일(T+8)이 지나야 환매대금이 지급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줄어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