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개인 500억 매수"


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ETF가 개인 순매수 500억원을 넘어섰다고 16일 밝혔다. 순자산도 1104억원을 기록했다.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미국나스닥100지수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외가격(OTM, Out of The Money) 데일리 콜옵션매도를 활용한 100% 커버드콜 전략으로 매일 최대 1% 수준의 시세차익과 더불어 높은 프리미엄 수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상품이다.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이 추종하는 지수인 'Nasdaq100 Daily Covered Call 101'의 최근 5년 평균 프리미엄수익은 연 23% 수준이다. 이 ETF는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상품으로 옵션매도 비율을 100%로 설정함에 따라 옵션프리미엄 수준이 매월 달라짐으로 최대 분배율을 연 20%(월 1.67%)로 제한했으며, 이를 초과하는 프리미엄은 재투자해 복리효과를 추구한다. 지난 11월 분배율은 펀드의 최초설정일인 10월16일부터 발생한 인컴까지 더해 총 2.45%에 달했다.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의 옵션거래는 삼성자산운용 뉴욕현지법인을 활용해 미국 현지에서 당일 실물 옵션매매를 진행하는 국내 최초 '시차 없는 데일리 커버드콜 전략'을 적용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 옵션거래를 이용하는 국내 상장 ETF들의 경우 미국 시장과의 시차로 실시간 매매에 제약이 발생해 전일 기초지수를 기준으로 행사가격을 산정한 후 다음 날 콜옵션매도를 실행하거나 합성운용 방식으로 진행해 왔다. 하지만 이 상품은 미국 현지에서 당일 기초지수를 기준으로 행사가격을 산정해 실물 옵션매매를 진행하기 때문에 거래 정확성을 높이고 운용비용을 절감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 상무는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향후 미국 증시가 당분간 속도 조절을 보이는 등 좀 더 완만한 상승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하는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상품"이라며 "나스닥100지수의 일간 1%수준의 시세 상승까지 참여하면서도 최대 연 20% 수준의 월배당을 추구하는 이 상품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대안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KB자산운용 'KB 다이렉트 인덱싱 대학생 서포터즈' 수료식 개최


사진=KB자산운용.
사진=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이 지난 13일 'KB 다이렉트 인덱싱 대학생 서포터즈' 수료식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KB 다이렉트 인덱싱은 펀드매니저처럼 원하는 종목을 선택해 나만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다. 미리 준비된 테마, 업종, 투자 대가의 전략을 사용하거나 개인의 투자스타일에 맞춰 종목을 자유롭게 편집해 맞춤형 전략을 만들 수 있다. KB자산운용은 2022년 9월 다이렉트 인덱싱 솔루션 'MyPort 엔진' 개발에 착수, 작년 4월부터 KB증권 M-able앱을 통해 본격적으로 다이렉트 인덱싱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지난 10월 개최한 'KB 다이렉트 인덱싱 대학생 서포터즈'는 대학생들의 다이렉트 인덱싱 모의투자 활동을 SNS로 기록하면서 서비스의 인지도를 높일 목적으로 기획했다.

총 100명의 대학생이 선발돼 3개월간 교육과 모의투자 활동으로 경험을 쌓았다. 서포터즈들은 △교육 참여 △모의투자대회 △SNS 콘텐츠 기획제작 활동을 수행하며 약 400건에 달하는 SNS 콘텐츠를 블로그와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플랫폼에 발행했다.

활동 종료 후 진행된 평가를 통해 우수 서포터즈 △최우수상 1명 △우수상 2명 △장려상 3명 △우수 크리에이터상 5명 △우수 모의투자상 3명을 시상해 총 550만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특히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학생에겐 KB자산운용 체험형 인턴십 기회가 제공되기도 했다.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이사는 "젊은 세대와 함께 새로운 금융 경험을 만들어갈 수 있어 매우 뜻 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금융 혁신을 이끌어갈 인재들을 꾸준히 발굴해 금융 산업 성장을 함께 도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