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우철 네이버 정책·RM 아젠다변호사(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네이버 AI 안전 정책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박우철 네이버 정책·RM 아젠다변호사(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네이버 AI 안전 정책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스위스의 UN 제네바 사무소에서 개최된 '신기술에 대한 인권 기반의 접근: 컨셉에서 구체적 적용으로' 행사에 참석해 안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네이버의 노력을 소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2년부터 '신기술에 대한 인권 기반의 접근'을 주제로 단계별 심층 연구를 수행하며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 서울대 인공지능 정책 이니셔티브(SAPI) 및 보편 권리 그룹(URG)이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와 공동으로 주최했다. 

SAPI 연구진은 '인권 중심의 규범을 업무 현장에 적용하는 현실적인 지침'을 다룬 올해 보고서를 발표하고, 윤성덕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 임용 서울대 교수와 스테판 손넨버그 교수, 그리고 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 관계자 등이 AI를 비롯한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인권을 바탕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박우철 네이버 정책·RM 아젠다 변호사는 2022년부터 운영중인 네이버 AI 윤리 자문 프로세스 'CHEC'를 소개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CHEC는 '네이버 AI 윤리 준칙'을 실제 서비스 출시 과정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한 정책으로, 일방적 점검이 아닌 기획 및 개발 단계에서부터 사회적 관점을 함께 고려하는 상호작용 과정이라는 특징이 있다.

박우철 변호사는 "현장의 상황을 알지 못하면 AI 윤리 원칙은 진부한 이야기가 될 수 있다"며 "네이버는 AI 윤리 원칙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SAPI와 같은 학계 전문가와 협업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CHEC 프로세스를 통해서는 서비스 담당자의 눈높이에 맞춰 현실적인 협업을 진행하기 위해 현장의 서비스 기획 및 개발 과정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AI 윤리 준칙을 구체화하기 위한 다른 정책들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다. 2023년에 공개한 '사람을 위한 클로바X 활용 가이드'는 생성형 AI 기술에 네이버 AI 윤리 준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 결과물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네이버는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과정에서 AI의 잠재적 위험을 더욱 체계적으로 인식·평가·관리하기 위한 ASF(AI Safety Framework)도 새롭게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네이버는 올해 UN의 AI 안전성 보고서 작성에 기술 자문을 제공했으며, 개방형 컨소시엄 'MLCommons'에서 AI 안전 벤치마크 구축 작업에 참여했다. 또 지난 7월에는 AI 워터마크 기술 표준을 구축한 'C2PA'에 국내 최초로 가입하기도 했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 AI 센터장은 "네이버는 AI 기술의 빠른 변화 속에서 주요 AI 기술을 내재화하면서, 서비스 기획·개발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안전 정책을 수립함으로써 AI 안전성 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더 그룹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AI 기술력을 확보하는 한편,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글로벌 AI 생태계를 만드는 데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네이버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