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영주 무섬마을' 내 대표적 고택인 만죽재 고택과 해우당 고택을 오랜 세월을 거쳐 전해져 온 관련 유물들과 함께 국가민속문화유산 '영주 만죽재 고택 및 유물 일괄', '영주 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로 각각 지정했다고 3일 밝혔다.
만죽재 고택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인 1666년, 반남박씨 박수가 무섬마을에 입향하면서 지은 고택이다. 입향조로부터 13대에 이르기까지 장손이 360년간 집터와 가옥을 온전히 지켜오며 큰 변형 없이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
교육과 시문학의 장소로 사용됐던 고택 뒤 섬계초당은 내성천과 무섬마을 전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8년 새롭게 복원됐다.
이외에도 '영주 만죽재 고택 및 유물 일괄'에는 역대 혼서지, 항일의병격문집, 호구단자, 승경도 등의 유물을 포함돼 있다.

해우당 고택은 무섬마을의 선성김씨 임향조 김대의 손자인 김영각이 1800년대 초반에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아들인 해우당 김낙풍이 1877~1879년에 고택을 중수한 후로는 해체수리공사가 없었기에 그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
해우당을 포함해 '영주 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에는 대은정의 현판과 글씨, 김낙풍이 작성한 과거답안지, 성주단지, 갓함 등의 유물 등이 들어가 있다.
국가유산청은 "고택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통해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한국 괘불의 미' 충청·서울경기편 발간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 지정
-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 '일상에서 발견한 문화유산' 발간
- 군산 선유도 해역서 고려청자·조선백자 등 220여점 발굴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경제적 가치, 779억원 추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 풍수해 피해와 대응 기술' 보고서 발간
- 수도권 폭설에 궁궐·왕릉 관람 중단
- 미국서 구매한 불화, 운송 중 사라져…'칠성여래도' 도난 신고
-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 전남 여수서 공룡 뼈 화석 60여점 발견
-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 실험 시작
- 한국춤예술센터 '2024 전통춤 류파전' 개최
- 국가유산청, 2024년 국가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11명 선정
- 김경미 작가,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 백제와 신라의 미소 담긴 두 보살…부여서 만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