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순자산 1천억 돌파


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초 미국 인공지능(AI)전력 ETF인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가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해 1188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상장 이후 누적 개인 순매수도 397억원에 달한다.

지난 7월 9일 상장 이후 11월 11일까지 이 상품은 수익률 27.7%를 상회해 같은 기간 나스닥100 지수 대비 약 23%p, S&P500 지수 대비로는 18%p 이상 초과 수익률을 기록했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전력인프라 산업의 핵심 밸류체인 대표기업에만 집중 투자하는 ETF로 전력망, 원자력, 천연가스 발전기 등을 종합적으로 생산하는 GE 버노바를 약 14.9% 비중으로 담고 있다. 아울러 미국 원자력 발전 1등 기업인 컨스텔레이션(14%), 네트워크 고대역폭 장비 1등 기업인 아리스타 네트웍스(13.9%) 등을 포함하고 있다(2024년 11월 11일 기준).

김천흥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미국의 인프라 노후 설비 교체, AI 데이터센터 발 전력 인프라 수요 급증으로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상승세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며 "AI전력인프라의 밸류체인 내 핵심 대표 기업들에 집중하는 상품으로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신한자산운용 'SOL 미국AI 전력인프라' 순자산 500억 돌파


사진=신한자산운용.
사진=신한자산운용.

인공지능(AI) 시대 반도체와 서버, 데이터센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 인프라와 원자력 밸류체인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SOL 미국AI 전력인프라' ETF의 순자산 총액이 500억원을 넘어섰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AI가 본격적으로 확산하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시급히 개선해야 할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와 새로운 전력원으로 합의된 원자력은 대선 이전부터 많은 전문가들이 당선자에 관계없이 주목해야 할 분야로 강조됐다"며 "급격하게 상승한 전력가격에 대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정책이 '효율적인 에너지원'과 '노후화된 전력망 개선'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력인프라와 원자력 밸류체인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I전력 인프라는 미국 대선 수혜주로 분류되어 최근의 변동성 장세에서도 꾸준하게 상승한 섹터다.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의 최근 1개월, 3개월 수익률은 각각 21.44%, 47.77%로 국내 AI 관련 37개 ETF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개인투자자의 최근 한 달간 순매수 금액은 전월 동기 대비 15배 이상 증가한 236억원에 달한다. (11/11 기준, 한국거래소 기준)  

김 본부장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는 전력망 시스템설비 등과 함께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한 주요 전력원으로 선택 받은 원자력과 SMR(소형모듈원자로)에 약 46% 비중으로 투자할 수 있다"며 "특히 동일 테마의 상품대비 차별화된 종목구성이 장점으로 현재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큰 종목들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해 성과 격차를 확대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NH-아문디자산운용, 공식 홈페이지 개편...고객 편의성 초점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NH-아문디자산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새롭게 개편했다고 12일 밝혔다.  

신규 홈페이지는 고객 편의성에 초점을 맞췄다. 홈페이지 첫 화면에 키워드 검색 기능을 추가해 간편한 검색만으로도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홈페이지 우측 상단에는 상품 정보, 투자 정보, ESG 메뉴를 볼 수 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이 운용 중인 상품과 투자 콘텐츠, ESG 활동이 정리되어 있다.

HANARO ETF 홈페이지도 새롭게 단장했다. NH-아문디 추천 ETF를 제안하고,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제안하는 ETF 검색 페이지도 따로 제공해 고객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NH-아문디자산운용 임동순 대표는 "변화하는 업계 분위기에 맞춰 오랫동안 고민해 공식 홈페이지 개편을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꼭 맞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투자에 안정성 더해…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베트남주식35펀드' 출시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베트남 대형 우량주와 국내 우량 회사채에 함께 투자하는 '한국투자베트남주식35펀드'를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투자베트남주식35펀드는 재간접펀드로서 베트남 주식형 펀드인 '한국투자베트남그로스모펀드'와 국내 회사채 펀드인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모펀드'에 각각 35%, 65% 수준으로 투자한다. 한국투자베트남주식35펀드는 두 자산군에 분산투자해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투자베트남그로스모펀드는 11일 에프앤가이드 기준 설정액 2696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베트남 투자 공모펀드다. 주요 투자처는 고성장이 기대되는 베트남의 대형 우량주이며 자체적으로 선별한 종목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베트남 현지 법인을 보유하고 있어 현지 기업 실사를 바탕으로 종목을 선별하고 시장 상황에 민첩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한국투자베트남그로스모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22.50%이며 최근 1년, 3년 및 설정일 이후 누적 수익률은 각각 22.50%, 11.78%, 174.21%이다.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모펀드는 설정액이 1조7718억원 규모인 국내 최대 회사채 펀드로, 주요 투자처가 A-등급 이상의 국내 우량 크레딧 채권(회사채 및 금융채)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모펀드를 위해 전담 크레딧 애널리스트 3인을 배정해 철저하게 자산군을 관리하고 있다. 해당 펀드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5.49%로 국내 회사채 공모펀드 가운데 수익률이 가장 높다. 최근 1년, 3년, 설정일 이후 누적 수익률은 각각 7.72%, 14.61%, 25.68%이다.

한국투자베트남주식35펀드 운용은 베트남 투자전문가 최원준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투자운용부 책임이 담당한다. 최 책임은 현재 6839억원 규모의 베트남 관련 공모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최 책임은 "베트남 국내총생산(GDP)는 지난 10년 동안 2배 이상 성장했고 성장률 측면에서도 동남아 국가 가운데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베트남 증시는 내년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이 10배 수준에 불과해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투자매력도가 충분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