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JB금융지주 제공
사진=JB금융지주 제공

JB금융지주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하자 증권가에서 긍정적인 해석과 함께 목표가를 상향했다.

25일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JB금융지주 중장기 기업가치제고 계획을 "밸류업지수 포함여부와 무관하게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이며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미달 시 대응방안도 제시한 점에서 높게 평가할 만한 기업가치제고 계획"이라고 평가했다.

JB금융지주는 전날 자기자본이익률(ROE) 15%, 주주환원율 50% 및 총 주주환원 금액 중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 40%를 목표로 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26년까지 ROE 13+a%, 주주환원율 45%, 2026년까지 현금배당성향 28% 고정 및 자기주식 매입소각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김 연구원은 "ROE 목표가 다소 도전적인 수준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6년 연속 10% 이상 ROE가 전망돼 은행주 내에서 차별화된 수치를 보이고 있고 최근 3년간 ROE 평균이 13%로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달성 가능한 범위"라고 평가했다.

이어 "ROE 목표에 미달하면 주주환원율 목표와 자기주식 매입소각 실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겠지만 2026년 해당 지표 실적이 목표에 다소 미달하더라도 큰 차이는 아닐 것"이라고 내다보며 목표가를 기존 1만99000원에서 2만500원으로 상향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도 목표가를 1만8000원으로 상향하며 "그동안 수익성 대비 할 인적용했던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R)을 상향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하나증권은 지난 3월 저원가성 예금 축소, 순이자마진(NIM) 하락 가능성, 주주환원율 상향 어려움 등 이유로 JB금융지주 목표주가를 하향했으나 JB금융이 2026년 45%, 중장기 50%까지 주주환원율을 확대한다고 밝힌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최 연구원은 "밸류업 공시가 단 하루가 늦어 밸류업 지수 특례 편입이 무산된 점은 다소 아쉬운 요인"이라면서도 "유통주식수가 타행대비 많지 않고 일평균 거래대금 또한 크지 않은 상황에서 시가총액 규모 대비 상당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수급 상황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