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용훈 AI 서비스사업부장, 정석근 글로벌·AI테크 사업부장, 유영상 SKT 대표이사,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공동 창업자. 사진=장하민 기자
(왼쪽부터) 김용훈 AI 서비스사업부장, 정석근 글로벌·AI테크 사업부장, 유영상 SKT 대표이사,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공동 창업자. 사진=장하민 기자

유영상 SKT 대표는 인공지능(AI) 전환이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AI 사업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SKT는 美 '검색 유니콘' 기업 퍼플렉시티와 4일 서울 SK텔레콤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AI(인공지능)를 통한 '대화형' 검색 시장 진출 계획을 밝혔다.

퍼플렉시티는 2022년 오픈AI 출신의 아라빈드 스리니바스가 창업한 미국 AI 스타트업으로 생성형 AI 기반의 대화형 검색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니콘 기업이다. 퍼플렉시티는 올해 5월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발표한 챗봇 사용성 평가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SKT는 지난 8월 에이닷 전면 개편을 통해 퍼플렉시티의 AI 검색엔진을 탑재했다. 또 에이닷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퍼플렉시티와 한국에 최적화된 AI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KT는 한국어 데이터, 문화 콘텐츠 등을 제공하고 퍼플렉시티는 검색엔진의 파인튜닝 등을 맡아 AI 검색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양사는 상호 투자를 통해 AI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SKT는 지난 6월 퍼플렉시티에 1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퍼플렉시티도 실리콘벨리에 위치한 SKT 자회사 '글로벌 AI 플랫폼 코퍼레이션(GAP Co.)'에 투자할 예정이다. △상호 투자 △공동 마케팅 △A.(에이닷)과 글로벌향 '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지원 등 협력을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는 "AI 전환을 위한 투자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여전히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AI와 관련해서는 과소투자보단 과잉투자가 맞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AI 시장을 무대로 CAP Co.에서 출시할 예정인 멀티 LLM 기반 글로벌향 'AI 에이전트(PAA)' 개발 및 사업 추진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KT와 GAP Co.는 연내 베타 버전을 미국 시장에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PAA를 개발하고 있으며, 퍼플렉시티는 PAA의 검색 파트너로 협력한다.

다만 SKT는 당장은 에이닷을 포함한 AI 서비스를 유료화하진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장은 수익 창출보단 저변 확대에 집중하겠단 방침이다.

이날 유 대표는 에이닷을 비롯한 AI 서비스의 유료화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AI 관련 서비스는 언젠간 유료화될 것"이라면서도 "당장은 국내 시장에서의 규모를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그동안의 비용은 감수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고객의 이용 패턴 등을 기준으로 고객이 충분한 가치를 느끼는 서비스의 유료화를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