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개인투자자 대상 ‘RISE 연금세미나’ 개최 


사진=KB자산운용.
사진=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이 개인투자자들의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길잡이로 나서 'RISE ETF 연금세미나'를 개최한다. 

오는 9월 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진행하는 '건강한 연금투자의 시작, RISE 연금세미나'는 추첨을 통해 참석자 200명을 선정할 예정이다. 

KB자산운용은 지난 7월 ETF 브랜드를 'RISE'로 리뉴얼하며 개인투자자들의 더 건강한 연금 투자를 돕겠다고 선언했다. 최근에는 ETF 투자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 일본 투자 가이드북을 발간한 바 있다.

세미나의 첫 번째 강연은 '마법의 연금 굴리기' 저자인 '업라이즈 투자자문 연금투자연구소' 김성일 소장이 진행한다. 'ETF 자산배분으로 연금 월세 500만원 받기'를 주제로, ETF 연금 자산 배분 전략과 분배금을 활용한 제2의 월급 세팅법, 연금 관련 세금 이슈 등을 논의한다.

뒤이어 연금 투자 전문 유튜브 채널 '서대리 TV'를 운영 중인 유튜버 서대리의 강연이 펼쳐진다. 서대리는 '저축은 답답하지만 투자는 무서운 당신에게' 등 연금 관련 도서를 저술했다. 이번 강연에선 은퇴 후 ETF를 활용한 캐시플로우 설계 및 연금에서 투자하기 좋은 ETF 선택 방법에 대해 실제 본인의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김찬영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연금 시장에서 ETF 상품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의 연금 투자 이해를 위해 온·오프라인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RISE ETF 홈페이지 및 블로그, 카카오톡 채널 등을 통해 이를 안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화자산운용, 환경부 등과 녹색인프라펀드 투자협약 체결


사진=한화자산운용.
사진=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이 환경부·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녹색 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이하 녹색인프라펀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한화자산운용은 전날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녹색 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투자협약식'에서 자산운용사 및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녹색인프라펀드 운용방안을 공개했다. 한화자산운용은 KIND가 선정하는 '녹색 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모태펀드 주간운용사 및 하위 블라인드 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됐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완섭 환경부 장관, 이강훈 KIND 사장,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권희백 한화자산운용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투자협약 체결을 축하했다.

녹색인프라펀드는 전 세계적인 녹색시장의 급속한 팽창 흐름에 대응해 정부 주도 펀드 조성을 통한 녹색산업 분야 해외사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추진됐다. 정부 출자(3000억원)와 민간투자(1000억원)를 통해 총 4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녹색산업 수출기업의 투자를 지원한다. 펀드관리 전문기관인 KIND에 따르면 2028년까지 블라인드 펀드와 프로젝트 펀드를 혼합하여 하위펀드가 조성될 예정이다.

투자대상은 최근 급성장하는 순환경제(폐배터리 재활용 등), 탄소감축(매립가스 발전, 바이오가스 생산 등), 물 산업 등 녹색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사업이다. 이번 달 조성되는 모태펀드의 사업기간은 5년(2024~2028년)이며 총 30년 간 운용된다. 다음달 민간투자 유치 및 하위펀드(제1호) 조성이 진행될 예정이며 이르면 오는 10월 투자가 시작된다.


NH-Amundi자산운용, 유튜브 채널 통해 '투자브리핑 8월호' 공개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는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투자브리핑 8월호'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투자브리핑은 NH-Amundi자산운용 주식, 채권, 글로벌 부문 전문가들이 출연해 경제 이슈 분석 및 전망을 토론하는 콘텐츠로 월 1회 업로드되고 있다.

이번 8월 호에서는 국제 주식시장 분석과 각국의 통화 정책 방향,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 짚었다.

8월 세계 증시는 급변동 장세를 보이며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각국의 통화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주목되는 가운데, '투자브리핑'에서는 상세한 증시 분석을 다뤘다.

앞으로 시장에 영향을 줄 이슈들과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을 예상하며 투자에 대한 코멘트를 들을 수 있다. 이외에도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일본과 중국 경제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도 들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