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본사 전경. 사진=삼성증권
삼성증권 본사 전경. 사진=삼성증권

국내 자산가들은 하반기 주식시장 우세를 예상하면서 주식과 채권에 6대4 비율 투자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는 지난달 11~14일 자사 예탁 자산 5억원 이상의 S.라운지 고객 37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고액 금융자산가들은 하반기 주식과 채권 비중을 이렇게 나누어 투자하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삼성증권은 주식(국내외 주식·ETF 포함)과 주식 외 자산(채권, 연금 등)의 이상적인 투자 비중은 6.5대 3.5지만,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를 고려하면 주식 6:채권 4 비중이 가장 적절하다고 분석했다.

설문 답변 전체 고객 중 42.5%는 하반기 투자처로 국내주식을 선호했다. 올해 1분기 주요국 증시에서 최고점을 경신한 해외주식은 35.9%, 하반기 금리 인하 예상으로 인기가 높아진 채권이 9.9%로 그 뒤를 이었다. 

국내외 주식시장 중 선호도는 미국(45.5%)과 한국(43.4%)이 비등했다. 설문 참여자들은 국내 주식의 잠재력을 기대하며 국내 주식 투자에 관심을 쏟는 것으로 보인다.

업종 중에서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가 74.1%로 압도적인 유망세를 자랑했다. 그 외 전기차·이차전지는 11.5%, 제약·바이오는 7.3%, 조선·기계·전력이 3.3%로 자리했다.

채권에 투자할 시 가장 선호하는 만기는 1년 이상~3년 미만이 47.8%로 절반에 달했다. 3년 이상~5년 미만은 19.9%, 1년 미만은 15.6%를 기록했고 10년 이상 장기채권은 9.4%로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또 참여자들은 만기 1년 미만의 신용등급 A+이상 회사채에 투자할 경우 연 4~5%가량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올해 4분기일 것이라는 예상이 51.2%를 기록했다. 하반기 금융시장은 미국 대선 등 대외 변수(34.4%),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 인하 지연(33.1%), 각국 정책 변수(18.5%)가 주요 리스크로 꼽혔다.

절세 계좌에서의  주력 투자 자산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개인형 퇴직연금(IRP), 연금저축펀드 등 선택지 가운데 ETF가 (32.1%)로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국내 주식(22.6%), 타깃데이트펀드(TDF) 등 펀드(11.0%), 현금성 자산(9.7%)이 있었고 15.9%가 '없음'이라고 응답했다. 매월 일정한 이자(배당)를 받는 금융상품 중에서는 배당 주식이 (44.7%)로 월등한 수치를 보였다. 그 외 월 배당 ETF(24.4%), 이자 지급식 채권(15.9%), 리츠(8.0%) 등이 줄을 섰으나 '없음'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35.3%에 달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