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첨단바이오제조 초격차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17.7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지원한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고 공급망 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주요국이 바이오제조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부는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허브 도약을 위해 '바이오제조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약 15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로 세계 2위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을 확보한 상황이다. 여기에 R&D 지원·바이오소부장 생태계 조성·산업기반구축·글로벌 진출 등에 정부가 2.1조원의 예산을 더해 2030년까지 17.7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밀착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생산 15조원, 바이오의약품 수출 100억불을 달성하고, 글로벌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5개 육성 및 5대 글로벌 바이오소부장 기업을 배출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첨단바이오 생산공정 고도화를 위한 '한국판 BioMADE' 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추진한다. 내년부터 구축할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와 연계, 생산공정을 고도화하고 상용화를 가속하기 위해 미국 첨단바이오제조혁신센터 등 국제기관과 협력해 바이오제조 혁신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안덕근 장관은 "바이오는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성장할 미래 먹거리이자 보건안보 필수산업"이라면서 "바이오제조혁신플랫폼 구축 및 소부장 생태계 조성을 통해 바이오제조허브 도약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