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1일 정부 의과대학 증원으로 인한 의료 대란과 관련해 "국민들의 불편을 조속히 해소해드리지 못해 대통령으로서 송구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의대 증원·의료 개혁, 국민께 드리는 말씀' 대국민 담화에서 이처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부의 의료 개혁은 필수 의료와 지역의료를 강화해서, 어디에 살고 어떤 병에 걸렸든,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사 증원을 할 수 없다고 한다면 국민 목숨의 가치가 그것밖에 안 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의사들을 향해 수입 감소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도 짚었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 의사들의 평균소득은 OECD 국가들 가운데 1위"라면서 "20년 후에 의사가 2만명이 더 늘어서 수입이 줄어들 것이라는 걱정은 기우다. 20년 뒤 국민 소득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는 그보다 더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윤 대통령은 "앞으로 의료산업 발전에 따라 바이오 등 의사들을 필요로 하는 시장도 커질 것이고, 의료 산업도 글로벌 마켓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의사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증원 규모에 대한 구체적 숫자를 제시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던 의료계는 근거도 없이 중구난방으로 여러 숫자 던지고 있다"면서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2000명에서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을 위해서라는 점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치란 국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면서 "국민을 불편하게 하는 구조적 문제를 알면서 이해집단에 굴복하면 정상적인 국가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께 반드시 하겠다고 약속드린 개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왔다. 정치적 득실을 따질 줄 몰라서 개혁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고통에 신음하는 것을 오랫동안 봐왔기 때문"이라고 개혁 이유를 밝혔다.
전공의들을 향해 근무지 복귀를 당부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현장으로 돌아와 본분을 다해 달라"면서 "의료개혁을 통해 제대로 된 의료 시스템을 만들겠다. 우리나라의 의학과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세계 최고로 만들 수 있도록 막대한 재정을 투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