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PF 정상화를 위해 사업성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21일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해 개최한 금융권, 건설업계와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정상화 가능 PF 사업장에 대한 자금공급 등을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건설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 원장은 "PF 사업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업계와 금융권이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무엇을 함께해야 할지 기탄없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의 경·공매 등을 통한 정리·재구조화를 중점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면서 "PF 사업장의 사업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부실 사업장의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평가 기준과 대주단협약 개편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장의 불합리한 제도·관행을 발굴·개선하겠다"면서 "PF 금리와 수수료가 대출 위험에 상응해 공정과 상식 차원에서 합리적으로 부과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등 건설업계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권에 대해서는 사업장 정리와 재구조화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주 계열사 등을 중심으로 모범사례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실사업장 매수 기반 확충을 위해 금융권 정상화 지원 펀드의 조성규모 확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건설업계에서는 사업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권의 PF 자금 공급 확대를 요구했고, 정상화 추진 사업장에 대해서까지 PF 금리와 수수료를 높게 요구하는 사례는 개선을 요청했다.
금융권 관계자들도 건설업계에 화답하며 정상 PF 사업장에 대한 금융공급 등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충당금 적립 강화, 부실사업장 정리 노력 등으로 재구조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손실 분담 등을 통해 한 발짝씩 양보하며 노력해 나간다면 사업장 재구조화 등을 통한 부동산PF 연착륙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