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투자를 더하다, 2024 KB Premier Summit' 열어


사진제공=KB증권

KB증권은 19일부터 11월 13일까지 10개월에 걸쳐 매월 1회 '2024 KB Premier Summit'을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Premier Summit'은 KB금융그룹의 대표 투자콘텐츠 프로그램으로 투자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얻고 있는 프리미엄 자산관리 세미나이다. 올해 5년차를 맞은 'Premier Summit' 은 전년에 비해 투자와 관련된 더 다양하고 심도있는 프로그램으로 고객에게 더욱 깊이 있는 투자 insight를 제시할 예정이다. 

올해 그 첫 시작으로 19일 '2024 상반기 투자세미나'를 진행한다. KB금융그룹 우수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동시에 진행하며, 이 날 첫 번째 세션은 올해 시장전망으로 시작된다. 하인환 수석연구원의 <한국주식시장에서 찾을 3가지 기회>라는 타이틀로 올해 주식시장의 환경과 기회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이어진 두번째 세션에서는 올해 테마전략으로 반도체·AI와 우주항공·로봇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2024 KB Premier Summit'에서는 급변하는 대내외 경제 상황 하에 투자의 방향을 제시하는 상·하반기 KB증권 애널리스트의 투자설명회를 비롯해 글로벌시장에 특화된 해외주식 세미나 개최 등 시장의 흐름을 적시성 있게 제공할 계획이며, 여기에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동산과 세금 관련된 세미나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을 모셔 KB금융그룹만의 깊이 있는 투자정보와 인문학 콘텐츠도 전달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 속 명사들의 강연도 준비되어 있다.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의 저자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의 특강을 비롯해 임희석 교수의 <All about AI>, 민정훈 교수의 <미국 대선 분석>,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코리아 2025>등 주식시장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석학들의 강연까지 더해지며 '2024 KB Premier Summit'의 깊이를 더해줄 예정이다. 

KB증권 이홍구 사장은 "고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Premier Summit'을 통해 비대면 온라인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고객과 소통하고 자산관리에 인사이트를 드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해 나갈 예정"이라며 "늘 고객 옆에서 고객을 생각하는 국민의 평생 투자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액티브자산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 상장 후 14% 수익


사진제공=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사진제공=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저탄소 에너지와 전력 인프라에 집중 투자하는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ETF가 상장 후 14.0%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가 투자한 전력 인프라 관련 기업과 저탄소에너지 기업들이 예상치를 넘는 실적을 기록하고 향후 전망을 상향하는 등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18일에 상장한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는 풍력, 태양광, 원자력 등 저탄소에너지와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시스템), 가상발전소 등 탄소 감축 기술을 가진 기후테크 기업은 물론 전력망,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등과 관련된 핵심 인프라 기업에도 투자한다.

이 ETF는 제너럴 일렉트릭(GE) 8%, 인페이즈에너지 6%, 넥스트래커 5% 등 저탄소에너지 기업과 이튼 7%, 콴타서비스 6%, 슈나이더일렉트릭 6%, HD현대일렉트릭 3% 등 인프라 기업들을 골고루 담았다. 지역별로는 미국 72%, 유럽 15%, 한국 9% 등으로 구성되며 산업별로는 태양광 30%, 전력 인프라 29%, 풍력 25%, 수소 9% 등에 투자한다.

특히, 미국의 주요 투자 기업인 넥스트래커와 인페이즈에너지, 이튼, GE 등이 실적 발표 후 2월에만 각각 33.2%, 26.6%, 12.8%, 12.6%의 높은 상승을 보였고, 국내 기업인 HD현대일렉트릭 역시 12.9%의 상승을 기록하며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의 좋은 성과를 이끌었다.

이 상품을 운용하고 있는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그 동안 글로벌 유동성 축소를 목적으로 진행된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면서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요한 저탄소발전소들의 개발 프로젝트들이 취소 또는 지연돼 부진했던 업황이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다시 활기를 되찾은 가운데, 지난 해부터 새롭게 주목받은 AI GPT의 등장으로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가 급증할 것이란 전망이 대두되며 전력산업, 특히 저탄소에너지와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향후 실적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Chat GPT를 선보이며 AI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1월 국내 태양광 전문업체 한화솔루션과 2025년부터 2032년까지 12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는데, 12GW는 서울시 400만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전력규모로 지난 2022년 미국 전체 태양광 설치규모 24GW의 절반에 해당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단 마이크로소프트뿐 아니라 AI산업을 주도하려는 빅테크 기업들이 고전력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앞 다퉈 발표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력산업의 성장세가 더욱 가파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효식 삼성액티브자산운용 팀장은 "현재 포트폴리오에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효과가 본격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하는 미국 육상 풍력과 유틸리티 태양광,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비중이 높다"며 "이들 기업은 작년에 수주가 크게 회복돼 올해부터 본격적인 설치량 증가가 나타나며 기업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