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임직원들이 API 형태로 구성한 5G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연하고 있다. 사진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임직원들이 API 형태로 구성한 5G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연하고 있다. 사진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에릭슨엘지와 함께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검증을 완료했으며,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고 15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검증을 통해 5G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인증정보·위치정보 등 데이터를 국제 표준 API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핵심 기술 역량이 부족한 중소 개발사들도 API 형태 데이터를 활용해 혁신적 5G 서비스를 개발,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플랫폼 검증에서 API 형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공재난관제 △원격주행자동차 △VR/AR 서비스 등에 활용하는 시연도 완료했다. 재난 상황 발생 시 위치 정보 API를 활용해 5G 네트워크로 드론에 고화질 관제화면을 띄우고 실시간 인명 대피 및 구조 등에 빠르게 대응하는 식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6월 3GPP(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표준 기반 원격자율주차 서비스 시연에 이어, 이번 오픈API 기반 5G 네트워크 플랫폼 솔루션 시연 등 연말까지 다양한 시연을 통해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5G 핵심 기능을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제공하며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혁신적 서비스가 나올 수 있는 발판을 만들 수 있도록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