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사는 사람 10명 중 8명은 혼자 생을 마감하는 고독사 위험군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 9471명에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6%가 고독사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19.8%가 고독사 중위험군으로 평가됐다. 저위험군은 56.4%로 나타났다.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까지 고독사 위험군은 모두 78.8%로 이 가운데 저위험군을 제외한 중·고위험군은 22.4%로 집계됐다. 고독사 위험군에 속하지 않은 경우는 21.2%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실패·상실감 누적 △고립적 일상 △사회적 고립 △이동성 높은 생애 △돌봄과 지원 중단 등 5가지 지표로 고립 정도를 파악해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고독사 위험 정도를 평가했다.

연구진은 고독사 위험군 가운데 중·고위험군 심층조사를 했는데 심층조사 대상은 남성이 60.9%로 여성보다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50대 24.6%, 60대 23.4%, 40대 16.2% 순이었다.

임시직과 일용직인 경우가 50.7%로 절반을 조금 넘었고, 가구소득이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이 63.0%를 차지했다. 혼자 거주한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45.5%였으며 남성의 91.6%와 여성의 84.3%는 공공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보고서는 "사회적 고립예방을 위해 조기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사각지대 발굴 체계를 만들고 지역에서 고립 문제가 있거나 고립에 이르기 쉬운 사람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