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노조가 노조활동을 제한하는 표준규칙 제정을 철회하고 성실히 교섭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16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보험설계사지부 한화생명지회는 서울 여의도 63빌딩 앞에서 기회회견을 열고 이렇게 강조했다.
이날 노조는 "지난 3일까지 2주에 한번씩 33차에 걸친 교섭을 진행했지만 현재까지 임금 협약, 조합사무실 제공 조건, 노조 홍보활동 보장 등 협의가 완료된 것은 하나도 없다"며 "특히 사측은 '사업장내 노조활동 표준규칙'을 제정하고 회사의 사전 승인을 받아 노조활동을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조 간부 활동지원금 지급을 대가로 노조활동 표준규칙을 받아들이라는 압력은 명백히 노조활동을 약화시키려고 하는 의도"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화생명지회는 조합사무실 제공과 더불어 수수료 협의 대상 범위뿐만 아니라 노동조합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거부하며 노조 탄압과 시간 끌기를 중단할 것 등을 요청했다.
한화생명지회와 사측이 이견을 보이고 있는 주요내용은 '홍보활동 등 보장'이다. 사측은 교섭에 앞서 시설관리권 존중 명분으로 '노조 활동 3일전 승인' 내용을 담은 노조활동 표준규칙을 노조에 제시했다.
노조에 가입한 보험설계사와 상급단체 임원이 사업장에 출입하는 절차를 규정하는 내용으로 노조는 명백한 노조 탄압 활동이라고 반발했다.
이와 관련 한화생명금융서비스 관계자는 "사업장 내 노조활동 표준규칙은 보험설계사 특성을 고려해 고용노동부 매뉴얼을 준용한 것"이라며 "표준규칙 제정은 FP(설계사) 노동조합의 반복적인 기초협약서 위반 행위에 따른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조합 주장과 달리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표준규칙의 내용 검토를 노조측에 요청한 것일뿐 수용을 강요한 사실이 없다"면서 "표준규칙 수용을 전제로 타 쟁점을 논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사실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앞으로 노동조합과 원활한 합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2021년 4월 한화생명이 보험사 최초로 보험 개발조직과 판매조직을 분리하기 위해 설립한 자회사다.
500여개 이상의 영업기관과 2만명에 달하는 설계사(FP)로 구성돼 있으며 출범과 동시에 지난해 GA(보험대리점)업계 1위로 올라섰고 지난해 피플라이프를 인수하며 3분기 당기순이익 629억원을 달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