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금융투자협회는 '2023년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금투협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했다. 미국과 한은의 지속적인 통화긴축에 따라 연중 금리가 상승세를 보였으나, 연말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며, 하락 마감했다.
상반기 채권금리는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완화된 가운데 월단위로 발표되는 물가 및 고용지표 등의 영향으로 등락을 반복하며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에 대한 우려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하반기에는 한·미 통화당국의 금리 동결이 지속된 가운데 긴축기조 장기화 전망으로 금리가 상승했으나, 11월부터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증가하면서 금리는 큰폭 하락 마감했다.
글로벌 통화긴축 기조가 지속된 가운데 국채, 통안증권, 금융채 등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채권 발행규모는 전년대비 103조2000억원(13.3%) 증가한 876조7000억원을 기록했고, 순발행은 123조3000억원 증가해 잔액은 2716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국채는 전년대비 24조5000억원(12.3%) 증가한 223조9000억원 발행됐고, 통안증권은 24조9000억원(23.8%) 증가한 129조6000억원 발행됐다.
은행과 여전사의 채권 발행이 증가하면서 금융채는 전년대비 32조4000억원(+11.9%) 증가한 303조6000억원 발행됐다.
회사채 투자수요가 회복되며 크레딧 스프레드가 축소되었으나 우량등급과 비우량등급간에 차이가 나타났고, 회사채는 전년대비 12조6000억원(16.4%) 증가한 89조4000억원 발행됐다.
ESG 채권은 사회적채권인 주택금융공사 채권 및 MBS가 큰 폭(21조1000억원 → 40조1000억원) 증가한 영향으로 전년대비 16조9000억원 증가한 75조7000억원 발행됐다.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기대감으로 회사채 발행시장에 온기가 확산되면서 수요예측금액은 전년대비 4조8000억원 증가한 33조2000억원, 수요예측 참여금액은 전년대비 100조3000억원 증가한 165조7000억원으로 참여율은 전년대비 268.7%p 증가한 498.9% 기록했다.
회사채 투자수요 회복에 따라 미매각이 감소하여, 전체 수요예측 후 발행확정금액 51조8000억원(451건) 대비 1조5000억원(33건)이 미매각되며 미매각율 2.9%를 기록했다.
금리 상승세에 따라 개인은 안정적인 고금리 채권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면서 회사채, 기타 금융채(여전채), 국채, 은행채 등에 대해 전년대비 16조9500억원 증가한 37조6000억원 순매수했다.
국가신용등급 대비 높은 금리 수준과 재정거래 유인 등으로 ‘23년 중 국채 63조70000억원, 통안채 21조7000억원 등 총 91조8000억원을 순매수해 규모는 전년대비 20조4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 국내 채권보유 잔고는 242조9000억원으로 전년(’22년말 228조6000억원) 대비 14조3000억원(+6.3%)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