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어스온 CI. 사진 = SK어스온
SK어스온 CI. 사진 = SK어스온

SK어스온은 국내 탄소 포집·저장 사업(CCS) 기반 구축을 위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이산화탄소 저장 후보지 탐사에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

SK어스온이 참여하는 '한반도 권역별 종합 2D·3D 물리탐사 및 전산재처리를 통한 상용화급 대규모 CO2 저장소 확보(이하 한반도 CO2 저장소 확보)' 국책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담 사업이다. 한양대학교(연구책임자 변중무 교수)가 주관연구기관으로 과제수행을 총괄하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한국석유공사 등과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인하대학교 등 학계, 슈퍼컴퓨팅 전문 기업인 코코링크 등이 과제를 수행한다.

한반도 CO2 저장소 확보는 한반도 주변 동·서·남해 해역을 광범위하고 정밀히 탐사해 CO2를 어느 지역에 얼마나 저장할 수 있을지 평가한다. 과거 유전탐사 시 확보한 자료를 개선하고, 자료가 부족한 해역은 추가 탐사를 실시해 CO2 저장소 유망 지역 발굴 작업이 진행된다. 이 밖에도 표준화되지 않은 CO2 저장소 선정 방법에 대한 기준도 제시할 예정이다.

SK어스온은 CO2 저장에 적합한 해저지층과 해저유전의 특징이 비슷한 점을 활용해, 40년 동안 쌓인 원유탐사 기술 역량을 토대로 CO2 저장소 선정 기준을 수립한다. SK어스온은 앞서 2021년 CCS 전담조직을 설립해 미국·호주·동남아 지역의 CCS 사업 개발 및 국내 CCS 관련 국책과제 참여 등에 앞장서고 있다.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SK어스온은 40년 간의 자원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국책과제에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적합한 CCS 후보지를 발굴하는데 노력하겠다"며 "국가적인 CCS 활성화와 이를 통한 탄소감축 활성화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발표된 정부의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CS 활용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 연간 480만톤이며,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CO2 10억톤을 해저에 묻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