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사옥. 사진=케이뱅크
케이뱅크 사옥. 사진=케이뱅크

케이뱅크는 2023년 3분기에 132억원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10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을 늘리며 순이익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8.4% 줄었다.

외형은 더욱 확대됐다. 케이뱅크의 3분기 말 고객 수는 916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24만명)과 비교해 92만명 늘었다.

이에 여수신이 고르게 증가했다. 3분기 말 수신 잔액은 17조2400억원, 여신 잔액은 12조81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27.8%, 31.0% 늘었다.

수신은 △300만원까지 연 3%(이하 세전)의 금리 △쿠팡 와우 또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잔고 조건 만족 시) △배달 앱·카페·주유소 등 생활 영역 할인 쿠폰 △유가·환율·식자재 가격 등 생활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생활통장' 등 신상품 출시를 비롯해 예·적금 금리 경쟁력을 앞세워 성장을 이어갔다.

생활통장은 3분기 출시해 이미 50만 좌를 넘었다. 같이 출시된 모임 참여 인원에 따라 최대 10%의 금리가 적용되는 기능을 갖춘 '모임통장'도 고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 9월 정기예금 상품인 '코드K 정기예금' 가입기간 1년의 금리를 은행권 최초로 연 4.0%로 인상하는 등 예·적금 금리도 업계 최고 수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자이익은 1156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4.7% 늘었다. 케이뱅크는 3분기 여신 성장과 담보대출 비중 확대를 통해 수익과 건전성을 모두 잡았다. 아파트담보대출은 고객 이자 부담을 경감하는 대환대출 상품의 금리 인하, 역전세난 해소를 위한 전월세보증금 반환대출 출시 등으로 경쟁력을 키웠다.

전세대출은 인터넷은행 중 유일하게 취급하는 고정금리 전세대출이 향후 금리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금리 경쟁력을 앞세워 꾸준히 인기를 끌며 전체 여신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지난해 3분기 말 19.9%에서 올 3분기 말 32.9%로 확대됐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기존 상품인 '사장님 신용대출'도 3분기 중 적극적으로 취급하며 대출잔액이 약 2000억원 늘었다.

케이뱅크는 이달 신용도가 낮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특화상품인 '사장님 중신용 보증서대출'을 새로 출시하는 등 경기 악화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상품을 계속해서 내놓고 있다.

비이자이익은 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0% 확대됐다. 비이자이익 증가 요인은 △KB 제휴 신용카드 출시 △알뜰교통카드 출시 △자동차·이륜차보험 광고 제휴 △동행복권 간편충전 서비스 출시 등이지만 가장 주효했던 것은 MMF 운용수익 증가로 보인다.

적립한 충당금은 630억원으로 지난해(321억원)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와 2분기에도 각각 600억원 대의 충당금을 쌓았다.

케이뱅크는 3분기 여신 성장과 담보대출 비중 확대를 통해 수익과 건전성을 모두 잡았다. 아파트담보대출은 고객 이자 부담을 경감하는 대환대출 상품의 금리 인하, 역전세난 해소를 위한 전월세보증금 반환대출 출시 등으로 경쟁력을 키웠다.

전세대출은 인터넷은행 중 유일하게 취급하는 고정금리 전세대출이 향후 금리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금리 경쟁력을 앞세워 꾸준히 인기를 끌며 전체 여신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지난해 3분기 말 19.9%에서 올 3분기 말 32.9%로 확대됐다.

3분기 말 케이뱅크의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역대 최대인 26.5%로 전 분기 말 24.0% 대비 2.5%p 늘었다. 10월 말 기준으로는 27.4%였다. 케이뱅크는 3분기 중 두 차례에 걸쳐 중저신용대출 금리를 최대 1%포인트 낮추며 중저신용대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저신용대출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담보대출 비중 확대 및 여신관리 강화 등 안정적인 자산관리로 케이뱅크의 3분기 말 연체율은 0.90%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BIS비율은 13.91%, 순이자마진(NIM)은 2.30%를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연말까지 포용금융 실천에 나선다. 이달 중 출시한 '사장님 중신용 보증서대출'을 통해 운영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지원하고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이달 중 금융권 공동 연탄 봉사와 전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금융교육, 12월에는 저소득층 아동 IT 기술교육 지원 기부캠페인 등의 사회공헌활동도 진행한다.

케이뱅크는 올해 은행권 공동 분담금 8억원을 분담하고 집중호우 피해복구 지원, 아동복지시설 PC 지원,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복구 지원, 설맞이 아동 보육 후원금 전달 및 아동 대상 금융교육 등을 진행해왔다. 

이에 더해 연말까지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분담을 통해 약 2억원, 서민금융진흥원 출연료 24억원 등 총 35억원 규모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예정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3분기에는 생활통장, 모임통장, 자동차대출 등 다양한 비대면 생활밀착형 혁신 상품 출시를 통해 비대면 금융의 영역을 넓혔다"며 "앞으로 중저신용대출 확대와 적극적인 사회공헌활동으로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