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사업 분야 글로벌 거점 확장 전략이 순항하고 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배터리셀 합작 공장 투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한데 이어 최근 북미 지역 전동화 투자 자금도 원활하게 확보하면서 미래 모빌리티 핵심 분야인 전동화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해외 금융기관 7곳을 대상으로 북미 전동화 신규 거점 구축을 위한 투자 자금 9.4억불을 확보했다고 8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시장 금리 상승 등 여의치 않은 상황에도 글로벌 전동화 시장 성장 가능성에 대한 높은 평가로 저금리, 장기 차입(만기 10년)에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공적 수출신용기관인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신용 보증이 더해져 원활한 자금 조달이 가능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자금 조달은 현대모비스의 해외 첫 그린론(Green Loan)으로 주목받았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21년 국내에서 친환경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녹색 채권을 발행한 바 있지만 해외에서 친환경 사업 투자를 위해 그린론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린론은 전기차나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사업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ESG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그린론으로 자금을 조달하면 유리한 금리 조건이 가능하고, 친환경 기업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10월, 북미 전동화 신규 생산 거점 구축을 위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13억 불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앨라바마와 조지아 등 4곳에 배터리시스템(BSA)과 PE시스템 신규 공장을 지어 글로벌 전동화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투자 자금 조달로 북미 전동화 사업이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전세계 9곳(국내 6, 해외 3)에서 전동화 생산 거점을 운영 중이며, 국내와 북미, 인도네시아 등에서 6곳의 전동화 생산 거점을 신규로 구축 중이다. 또한 현대모비스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전동화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현대모비스, 3분기 순익 9981억원…전년比 78.3%↑
- 하토리 동경 지사장 "현대모비스는 일본시장을 교두보로 글로벌 사업 확장" [재팬모빌리티쇼]
- '일본 공략' 현대모비스, 日 모빌리티쇼 첫 참가
- 현대모비스, 1200여개 부품대리점·지원센터 '안전진단'
- 현대모비스, 주차경로 학습·원터치 자동 주차 기술 개발
- 현대모비스,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 성황...200여 명 몰려
- '자율주차 트레일러'에 관심 집중…북미 공략 나선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 차량용 헬스케어 '엠브레인' 대통령상 수상
- 현대모비스, 차량용 'QL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개발
- 현대모비스, 전동화 차세대 R&D 거점 '의왕 전동화 연구동' 설립
- 현대모비스, 학교 스포츠클럽 양궁대회 개최…중학생 200명 참가
- 현대모비스, e코너시스템 탑재 실증차 '모비온' 첫 공개 [CES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