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이천 공장 전경. 사진=윤은식 기자
SK하이닉스 이천 공장 전경. 사진=윤은식 기자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성능 제품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며 영업손실 폭을 줄였다.  D램은 2개 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 9조667억원, 영업손실 1조7818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1년 전과 견줘 매출은 17.5% 줄어들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순손실은 2조1847억원(순손실률 24%)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전 분기 대비로는 인공지능(AI)용 메모리인 HBM3, 고용량 DDR5, 고성능 모바일 D램 등 주력 제품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매출은 24% 늘었고 영업손실은 38% 감소했다.

매출 증가 추세에 대해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 모두 판매량이 늘어난 것은 물론, D램 평균판매가격(ASP, Average Selling Price) 상승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제품별로 D램은 AI 등 고성능 서버용 제품 판매 호조로 전분기 대비 출하량이 약 20% 늘었다.  평균판매단가(ASP)도 약 10% 상승했다. 낸드도 고용량 모바일 제품과 SSD(Solid State Drive) 중심으로 출하량이 늘었다.

흑자로 돌아선 D램은 생성형 AI붐과 함께 시황이 지속해서 호전 될 것으로 회사는 전망했다. 적자 행진 중인 낸드도 시황이 개선될 조심을 보이고 있어 전사 경영실적 개선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SK하이닉스 설명에 의하면 올 하반기 메모리 공급사들이 감산 효과가 가시화되는 가운데 재고가 줄어든 고객 중심으로 메모리 구매 수요가 창출되고 있고 제품 가격도 안정세에 접어 들었다.

이에 SK하이닉스는 HBM과 DDR5, LPDDR5 등 고부가 주력제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D램 10나노 4세대(1a)와 5세대(1b) 중심으로 공정을 전환하는 한편, HBM과 TSV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당사는 고성능 메모리 시장을 선도하면서 미래 AI 인프라의 핵심이 될 회사로 탄탄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 HBM, DDR5 등 당사가 글로벌 수위(首位)를 점한 제품들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낼 것이며, 고성능 프리미엄 메모리 1등 공급자로서의 입지를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