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대출 증가로 위험가중자산이 커졌음에도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은 소폭 상승했다. 금융당국은 추가 자본 적립을 유도할 계획이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 잠정치'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BIS기준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53%로 규제비율 3%를 크게 상회했다. 올해 1분기 말보다 0.04%p 상승한 수치다.
BIS기준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각각 12.98%, 14.27%, 15.62%로 나타났다. 전 분기 대비 각각 0.08%p, 0.01%p, 0.04%p 올랐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감독당국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로 올해 말까지 완충자본 및 단순기본자본비율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토스뱅크를 제외하면 6월 말 기준 국내 모든 개별 은행이 규제 비율을 웃돌았다.
1분기 말 대비 씨티, 산업, 수출입, KB, DGB 등 5곳이 총자본비율이 상승을 기록했고 나머지 12개 은행은 총자본이 소폭 감소하거나 위험가중자산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커 총자본비율이 하락했다.
금감원은 "모든 은행 자본비율이 규제 비율을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최근 환율·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대내외 경제 여건도 악화되고 있는 만큼 충분한 자본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자본적정성 감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을 중심으로 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토록 하는 한편 내년 5월부터 실시되는 은행의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의무 부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충분한 자본 여력을 갖추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