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연구개발(R&D) 기반 혁신과 성장 40주년 연구발표.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연구개발(R&D) 기반 혁신과 성장 40주년 연구발표.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이 지난 40년을 돌아보고 미래 40년을 내다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28일 SK이노베이션은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수펙스홀에서 '연구개발(R&D) 경영 40주년 성과' 콘퍼런스를 열고, 글로벌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난 원동력과 배경, 미래 기업가치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송재용 교수와 카이스트 경영학과 이지환 교수의 공동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연구 발표는 △SK이노베이션 R&D 경영 발전 단계 △R&D 경영 성공요인 △R&D 기반 사업화 성공 주요 사례 △R&D 경영 모델 및 시사점 순으로 진행됐다.

스키노웨이(SKinnoWay) R&BD 모델. 사진=SK이노베이션
스키노웨이(SKinnoWay) R&BD 모델. 사진=SK이노베이션

연구진은 먼저 SK이노베이션의 독자적인 경영모델을 '스키노웨이(SKinnoWay) R&BD'라 규정한 뒤 '4E'가 작용했다고 보았다. 

'4E'란 △경영철학과 도전(Entrepreneurship)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Exploitation) △미래형 신사업개발(Exploration) △기술역량(Expertise) 등을 의미한다.

이어 '스키노웨이 R&BD'가 정착된 데에는 최종현 선대 회장에서 최태원 회장으로 이어지는 기술 중시 철학 등 일관적·선구적인 리더십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스키노웨이 R&BD'를 통해 △제품 품질·원가 경쟁력 강화 △공정개선 및 최적화 △공통역량 축적 등을 실현해 배터리, 분리막, 윤활기유, 넥슬렌, 신약개발 등 분야에서 주요 성과를 달성하고 기업가치를 획기적으로 증대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중인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왼쪽)과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오른쪽). 사진=김하늘 기자
질의응답 중인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왼쪽)과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오른쪽). 사진=김하늘 기자

이지환 카이스트 교수는 "특히 배터리를 부품·소재가 아닌 에너지로 과감히 접근한 게 SK이노베이션의 R&D 사상 최고의 혁신"이라며 "이를 통해 자동차용 배터리 기술 구현, 소재 분야의 분리막 연구 개발 등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송재용 서울대 교수는 "분리막 연구개발 사례는 SK이노베이션 계열이 최초로 'SK그룹 수펙스추구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유일한 사례"라며 "윤활기유 개발 또한 우수 성과로 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SK이노베이션은 '그린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해,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하고 선제적·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면서 "일찍이 장기적 관점에서 R&D 경영 노력을 일관되게 이어온 것이 전통 산업에서 R&D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본보기가 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