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연구기관장과 학계 전문가, 수산 및 어업인 단체장 등이 일본 원전 오염수가 방류되더라도 우리 수산물은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당부했다.
수협중앙회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8일 부산에서 '원전 오염수 논란이 남긴 영향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원전 전문가를 필두로 해양수산 분야 국가연구기관장, 전문가, 어업인 단체장, 국민소통단 등이 참여해 국민 불암감 해소와 함께 수산업계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노동진 회장은 "수산물이 안전하다는 과학적 사실을 국민들에게 알기 쉽게 알림으로써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수협에서는 수산물의 안전성을 널리 전파해 국민적 우려와 걱정을 불식시고 어려움을 겪는 어업인들을 지원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종합보고서는 충분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며, 국제기구 보고서를 폄훼하는 행위는 잘못된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 학회장은 "방사선을 포함한 모든 유해물질의 영향은 존재 자체가 아니라 양이 얼마나 노출되느냐에 의해 결정되는데, IAEA는 ALPS 처리수가 방류되면 후쿠시마 지역 주민이라도 피폭 수준이 연간 최대 3만밀리시버트(mSv)분의1로 영향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ALPS 설비는 방류기준이 만족될 때까지 반복 여과하는 것"이라며 "설비의 성능 논란은 무의미하고 방류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 IAEA 검증단 활동을 통해 검증된 것"이라고 말했다.
어업인과 수산업 종사자들의 연쇄 도산을 막기 위한 현실적인 정부 대응책도 마련해달라는 호소도 이어졌다.
김성호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은 "과거 2011년, 2013년 원전 사고의 여파로 수산물 소비가 약 40% 감소했었기 때문에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과학적 결과와는 달리 심리적 문제로 수산물 소비침체가 심히 우려된다"며 "정부의 수산물 소비 촉진 및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현행 일본 8개현 수산물 수입금지 계속 등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