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동 삼성서초 사옥.사진=연합뉴스
서울 서초동 삼성서초 사옥.사진=연합뉴스

국내 전자업계 양대산맥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장애인고용률은 얼마나 될까. 최근 3년간 양사의 장애인 고용률을 살펴보니 LG전자가 삼성전자보다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삼성과 LG모두 장애인고용법상 장애인 고용률 3.1% 기준은 충족하지 못했다.

12일 삼성전자 '2023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집계된 삼성전자의 장애인 임직원 수는 2019년(1589명), 2020년(1465명), 2021년(1574명), 2022년(1664명)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고용률은 2019년(1.6%), 2020년(1.5%), 2021년(1.6%), 2022년(1.6%)으로 나타났다.

LG전자의 장애인고용률은 삼성전자보다 1.5배가량 높았다. LG전자의 장애인고용률은 2018년(2.16%), 2019년(2.2%), 2020년(2.19%), 2021년(2.3%)로, 꾸준히 2%를 넘겨왔다. 아직 2022년도 수치는 나오지 않았으나 기존 사업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오는 2030년까지 3.5% 달성할 계획이다.

LG전자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LG전자의 '하누리 사업장' 역할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하누리 사업장은 LG전자가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설립한 첫 사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다. 고용된 장애인은 카페, 환경미화, 식기세척, 기숙사 관리 등을 담당한다.

LG전자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장애인 표준사업장(하누리)과 자사 장애인 고용 확대를 통해 장애인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하누리 사업장의 장애인 근로자수는 2018년(212명), 2019년(229명), 2020년(221명)이며, LG전자의 장애인 근로자 수는 2018년(398명), 2019년(450명) 2020년(431명)이다. 

하지만 LG전자의 장애인고용률도 현행법을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장애인고용법)'에 따르면 상시 50인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민간기업(공공기관)은 상시노동자의 3.1%(3.6%) 이상을 장애인으로 고용해야 한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 모두 이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장애인고용률을 충족시키지 못한 기업들은 장애인고용부담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까지 가장 많은 부담금을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담금은 최저임금액의 60%를 기준으로, 미고용 인원수에 따라 가산된다.

앞서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삼성전자는 부담금으로 214억을 납부했다. 삼성전자가 5년간 납부한 부담금은 748억원 규모다. 대기업집단 내 개별 기업 중 5년 연속 1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LG전자가 납부한 금액은 152억원이다.

삼성전자도 장애인고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찾고 있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도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함께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을 추진했다.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과제조 사업을 시작으로, 중증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를 발굴해 사업채용 영역을 넓힐 예정이다. 장애인 표준사업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삼성전자 국내사업장 임직원들에게 우선 공급된다.

당시 장애인고용공단과의 협약식에서 최완우 삼성전자 DS부문 인사팀장 겸 사회공헌단장 부사장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발굴하고 당당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기여하는 자립의 기반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