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30% 정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최근 1년 새 더 커진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해 1000대 기업 내 영업이익 1조 클럽에는 30곳이 가입했고, 당기순익 1조 클럽에도 21곳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2001년~2022년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 영업손익 및 당기손익 현황 분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1000대 상장사는 각 년도 매출 기준이고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다.
조사 결과 2022년 국내 매출 1000대 기업의 영업이익 규모는 106조1725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145조5249억원보다 39조원 이상 감소한 금액이다. 근 1년 새 27.1%나 하락했다. 1000대 기업 전체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중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도 2021년 8.4%에서 지난해엔는 6.1%로 낮아졌다. 2001년 이후 1000대 기업의 최고 영업이익률은 2018년 때 기록한 10.7%가 최고치였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7% 넘게 하락한 배경에는 한전의 영업손실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 2021년 한전의 영업손실액은 7조4255억원이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엔 33조9085억원으로 영업손실이 더 확대됐다. 지난해 한전이 영업적자를 본 금액은 같은 해 삼성전자(25조3193억원)와 SK하이닉스(7조6609억원) 두 회사의 영업이익이 사라진 것과 비슷했다. 1000대 기업 중 한전의 영업손실을 제외하고 따로 계산해보면 2021년 대비 2022년 영업이익 하락률은 27.1% 수준에서 8.4%로 확 떨어진다.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숫자도 1년 새 2곳 많아진 30곳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7곳은 최근 1년 새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새로 가입한 반면 5곳은 탈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새로 이름을 올린 기업엔 △현대차(21년 6616억원→22년 2조8285억원) △현대글로비스(8945억원→1조5957억원) △우리금융지주(5905억원→1조1856억원) △SK(8301억원→1조1086억원) △LG유플러스(9379억원→1조498억원) △메리츠증권(8604억원→1조253억원) △삼성SDI(5876억원→1조108억원)가 포함됐다.
2021년 대비 2022년에 영업이익이 1조원 이상 증가한 기업은 5곳으로 조사됐다. △HMM(2조5630억원↑) △현대차(2조1669억원↑) △대한항공(1조4192억원↑) △S-Oil(1조2638억원↑) △한국가스공사(1조139억원↑)가 이름을 올렸다. 이 중에서도 현대차는 2021년 대비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이 327.5%나 됐고, 한국가스공사도 101.2%로 100%를 상회했다.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 영업이익 1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1000대 기업 내 영업이익 영향력은 23.8%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전해 22% 보다는 1년 새 삼성전자 영업이익 포지션이 소폭 상승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2021년(31조 9931억원) 대비 2022년(25조3193억원)에 20.9%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1000대 기업 내 이익 비중은 오히려 높아졌다. 참고로 2001년 이후로 1000대 기업 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비중은 2008년에 5.7%로 가장 낮았고, 2018년에 31.6%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1000대 기업의 당기순익 성적표도 1년 새 나빠졌다. 조사 대상 1000곳의 지난해 순익 규모는 87조8376억원 정도였다. 전년도 기록한 127조1461억원과 비교하면 1년 새 30.9%나 고꾸라졌다.
1000대 기업 중 2021년 대비 2022년에 순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HMM인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 5조3535억원에서 지난해 10조478억원으로 1년 새 4조6943억원이나 순익이 두둑해졌다. HMM은 삼성전자와 함께 지난해 순익 10조 클럽에도 나란히 이름을 올려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익 모두 삼성전자 다음으로 넘버 투(No.2) 자리를 꿰찼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해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 실적이 전반적으로 저조해 1000대 기업 영업이익은 지난해 보다 15~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올해는 그동안 영업이익 1위 자리를 지켜왔던 삼성전자가 다른 기업에 영업이익 왕좌 자리를 내줄지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라 올해 영업이익 순위 판도는 크게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1000대기업 지난해 매출 1993조…매출 1조클럽 258곳 역대 '최다'
- 전자-자동차업계, 인건비 희비 갈렸다
- 현대차 美법인, 지난해 순익 전년比 140%↑…IT업체는 일제히↓
- 삼성전자, 의류케어가전 '장마철 안심건조 뽀송 페스타' 실시
- LG유플러스-카카오모빌리티, 전기차 충전 사업 합작투자 계약 체결
- 삼성전자·LG전자 2분기는 성적표는?
- SK스퀘어·하이닉스, 해외 반도체 소부장 기업에 1000억원 투자
- SK하이닉스, 협력사 ESG 관리도 돕는다
- 삼성전자 2Q 영업익 6천억원 기록...96%↓
- 올 상반기 시총 370조↑…증가액 1위는 '삼성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