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준 효성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과 함께 베트남 사절단에 참가하면서 현지 사업 진행 상황과 향후 투자 계획 등을 점검했다.
효성은 조현준 회장이 베트남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현지 사업장을 들려 사업 진행 상황과 향후 투자계획 등을 현장에서 직점 점검했다고 23일 밝혔다.
효성은 지난 2007년 호치민 인근 동나이 지역에 베트남 법인을 설립하며 진출한 이후 현재까지 약 35억달러를 투자해 △남부 호치민 인근 동나이성(베트남·동나이·동나이나일론·비나기전·비나건설), △남부 바리우붕따우성(비나케미칼) △중부 꽝남성(광남) △북부 박닌성(FSV) 등 총 8개의 현지 법인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엔 베트남에서만 32억달러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올해는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베트남은 효성 총 수출의 1%가량을 담당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에서도 베트남에 투자한 한국 기업으로 세번째다. 효성은 베트남 현채인을 약 8500명 고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베트남은 효성의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정보통신 등 핵심 사업을 베트남에서 진행 중이다. 특히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 사업의 단일 규모 최대의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섬유 및 산업자재 부문에선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는 물론 원료인 PTMG, 나일론, 테크니컬 얀 등 원사 사업부터 에어백 등 완제품에 이르는 밸류 체인 전반의 일괄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중공업 부문에서도 전동기 공장을 비롯한 한국 창원의 마더플랜트의 표준품 제품을 단계적으로 이전하는 등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화학 부문에서는 비나케미칼 법인의 폴리프로필렌(PP) 사업에 있어 부두-LPG저장탱크-DH(탈수소화공정)-PP 생산에 이르는 수직계열화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정보통신 부문에서도 박닌성에 베트남 최초의 ATM 공장을 신설해 수출 전진 기지로 육성하고 있다.
효성 관계자는 "베트남의 경제와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전력인프라, IT인프라, 핀테크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기회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제조 부문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기반으로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디지털 및 친환경 기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