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비 오는 날의 평균 사고 발생건수가 평소에 비해 10.3% 높고 교통사고 100건당 치사율은 2.28명으로 전체 평균 교통사고 치사율의 4.3배에 달한다.
비 오는 날 교통사고가 늘어나고 치사율과 부상율이 높은 것은 좁아진 시야와 젖은 노면에 따른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따라서 20% 이상 감속, 1.5배의 안전거리 확보 등 안전운전 노력이 중요하다.
삼성화재가 장마철 안전 운전을 위한 요령 등을 소개했다. 먼저 빗길이나 젖은 노면에서 운전할 땐 차량 속도를 줄이고 주변 상황을 잘 살펴야 한다.
도로별 법정 제한속도보다 20% 이상 속도를 줄이고 곡선 도로에 진입하기 전 충분히 속력을 줄여야 교통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한속도가 60㎞/h인 도로라면 40~50㎞/h로, 고속도로에선 80㎞/h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다.
폭우가 쏟아지거나 짙은 안개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경우 전조등을 켜고 50% 이상 감속해야 한다.
삼성화재에 따르면 도로가 젖어 있을 때 급제동하면 마른 노면과 비교할 때 제동거리가 약 40~50% 가량 길어진다. 이에 따라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해 차량 추돌사고나 차로 변경 중 측면 접촉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타이어공기압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빗길을 고속으로 주행하면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선 감속 운행은 물론 빗길에서 타이어 공기압을 평소보다 10~15% 높게 수막현상을 줄일 수 있다.
삼성화재는 자동차 전조등은 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가 오는 날에는 꼭 전조등을 켜고 운행해야 한다. 가시거리가 짧은 빗길에서는 전조등을 보고 차량을 피하거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 오는 날 무심코 지나게 되는 물웅덩이도 조심해야 한다고 주전했다. 차량이 물웅덩이를 통과할 때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이 물에 젖어 마찰력이 저하되고 급제동 시 정지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물웅덩이를 빠르게 통과하고 안전한 곳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가볍게 2~3회 밟아 물기를 말려야 한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많은 양의 비로 미끄러워진 노면을 평소처럼 달렸다간 교통사고를 일으킬 확률이 훨씬 높아지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거나 장마철에는 안전운전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