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취 운전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운전자들이 대다수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AXA손해보험이 운전자 1400명으로 대상으로 진행한 '운전자 교통안정 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운전자 8명중 1명은 전날 음주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대를 잡는다고 답했다.
전날 혹은 새벽까지 술을 마신 후 절대 운전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운전자는 전체의 38%에 불과했고 숙취 현상이 조금이라도 있을 경우에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21%, 과하게 술을 마신 다음날이라면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28%였다.
본인 컨디션에 따라 전 날 술을 마셔도 운전하겠다는 사람이 전체 운전자 중 절반인 50%로 다수의 사람들이 숙취운전 위험성에 대해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조는 특히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자 중 42%는 전날 술을 마셔도 상관없이 운전을 한다고 답했다.
반면에 음주운전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주행 중 운전 습관의 위험 원인 1위로 전체 응답자 중 88%가 술을 1잔만 마셔도 위험하다고 답했다. 술을 4잔 이상 마신 후 주행 위험성에 대해서도 95%가 위험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음주운전이 미치는 교통사고 위험의 증가가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에서는 100% 초과(70%), 51%~100%(20%)로 답했다. 10명 중 9명은 음주운전이 교통사고 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로 보면 2030세대,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운전자들이 음주운전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92%의 운전자들은 지난 1년간 술을 한 잔 이상 마신 뒤 운전대를 잡은 경험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AXA손보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서 음주운전만큼 위험한 숙취운전에 대한 인식이 아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피해 및 사고를 막기 위한 인식 강화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AXA손보는 고객의 안전한 삶을 위해 지속적인 교통 안전 의식 조사와 캠페인 등을 통해 숙취운전 위험성 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증가와 숙취운전에 대한 인식이 낮은 점을 고려해 경찰은 오는 31일까지 음주운전 특별 단속 기간을 운영한다. 경찰은 특히 지난밤 음주 후 술이 덜 깬 상태로 운전하는 숙취운전 위험이 높은 출근시간, 식사하며 술을 마시는 '반주 후 운전'인 점심시간 직후 위주로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