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방문객 수(왼쪽)와 일 평균 방문객수.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
총 방문객 수(왼쪽)와 일 평균 방문객수.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

지난해 지역축제의 방문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는 대한민국 축제 진단 및 지자체 축제산업 육성지원을 위해 ‘2022년 문화관광축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축제를 분석한 이번 결과에 따르면 2022년에 개최된 21개 문화관광축제의 총 방문객은 팬데믹 이전(2019년) 대비 19.7% 증가했으며, 축제 기간 방문객 일평균 소비액은 23.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50대 방문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방문 비중이 여성보다 6.8%p 높게 나타났다.

지역축제 개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21개 축제의 총 경제 파급 효과액은 1768~1820억원 수준으로, 취업유발효과는 약 258명, 고용유발효과는 약 157명로 산출됐다. 또한, 1개 축제의 평균 파급효과는 85억원, 취업유발 12명, 고용유발 7명 수준으로 분석됐다.

문화관광축제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공사에서 운영하는 ‘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사 박대영 지역관광콘텐츠팀장은 “2023년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문화관광축제 전체로 확대하고 분석모델 개선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지자체 축제담당자 대상 빅데이터 활용교육 실시로 지역축제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