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지역축제의 방문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는 대한민국 축제 진단 및 지자체 축제산업 육성지원을 위해 ‘2022년 문화관광축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축제를 분석한 이번 결과에 따르면 2022년에 개최된 21개 문화관광축제의 총 방문객은 팬데믹 이전(2019년) 대비 19.7% 증가했으며, 축제 기간 방문객 일평균 소비액은 23.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50대 방문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방문 비중이 여성보다 6.8%p 높게 나타났다.
지역축제 개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21개 축제의 총 경제 파급 효과액은 1768~1820억원 수준으로, 취업유발효과는 약 258명, 고용유발효과는 약 157명로 산출됐다. 또한, 1개 축제의 평균 파급효과는 85억원, 취업유발 12명, 고용유발 7명 수준으로 분석됐다.
문화관광축제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공사에서 운영하는 ‘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사 박대영 지역관광콘텐츠팀장은 “2023년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문화관광축제 전체로 확대하고 분석모델 개선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지자체 축제담당자 대상 빅데이터 활용교육 실시로 지역축제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용인·인제·통영, 스마트 관광도시 선정…K-관광 버킷리스트로 육성
- 서촌한옥마을, 마을안내소 문 연다…'서촌 퍼멘티드'
- 세종문화회관 '천원의 행복', 올해 만 명 더 본다
- 시흥월곶포구축제·이천쌀문화축제 등 경기도 우수 지역축제 선정
- 부산·대전·강릉·전주·진주, 야간관광 특화도시 신규 선정
- 김광석길·윤이상기념관…한국관광공사, 3월 가볼만한 곳 선정
- K-관광 매력 더할 ‘지역관광 크리에이터 조직’ 21개소 선정
- 서울 전역에서 만나는 K-팝·푸드·뷰티…‘서울페스타’ 개최
- ‘더 글로리’ 촬영지, 관광명소로…인천 촬영지 세트장 공개
- ‘갓’한민국으로 오세요…‘한국방문의해’ 공식 로고 공개
-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 지역, 2곳→11곳 확대
- 서울관광재단, 외국인 등산객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문체부·관광공사·코트라, 관광기업 중동 진출 돕는다
- ‘구준엽 처제’ 대만스타 서희제, 한국관광 매력 알린다
- 조형제·오제열·윤기철·이원준, 수원 4대 가을축제 감독 위촉
- 문체부, 백종원과 손잡고 지역축제 ‘착한 가격’ 먹거리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