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7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 광화문분원에서 전병극 제1차관 주재로 ‘제2차 콘텐츠 수출대책회의’를 열고 K-팝 수출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해외 진출 촉진 방안을 논의한다.
문체부는 콘텐츠 현장과 소통해 수출지원정책을 점검하고 발굴하고자 지난 2월17일에 ‘콘텐츠 수출대책회의’를 출범한 바 있다. 이번 2차 회의는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박보균 장관이 ‘K-콘텐츠 수출전략’을 발표한 이후 처음 개최하는 회의로 수출 현장을 콘텐츠 장르별로 점검하는 첫 자리이기도 하다. 장르별 점검의 첫 번째 대상은 K-팝으로, 음악업계의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실효성 있는 해외 진출 지원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90년대 말 아시아권 국가들의 한국 드라마 열풍으로 시작된 한류는 이후 아이돌 가수 중심의 대중음악으로 확산됐다. 이후 K-팝은 최근까지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을 필두로 K-콘텐츠를 대표하는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콘텐츠산업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음악산업 수출액은 2021년 회복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14.1% 증가한 7억7527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회의에는 콘진원 한류지원본부를 비롯해 연예기획사 티오피미디어, 스페이스 보헤미안, 이고그룹과 K-팝 엔터테인먼트 교육기관인 월드케이팝센터 등 업계 관계자와 한국음악콘텐츠협회,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해외 쇼케이스 개최, 음악 전문마켓 참가, ‘서울국제뮤직페어(뮤콘)’ 참가 등 기존 해외 진출 지원책에 더해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효과적인 수출 지원방안을 발굴할 예정이다.
전병극 차관은 “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124억5000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K-콘텐츠는 명실상부한 수출 전선의 구원투수가 되었다”라며 “음악업계를 시작으로 향후 게임, 방송, 웹툰 등 장르별로 수출 현장의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현장에 맞는 지원책을 마련해 K-콘텐츠가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 "K-문화·역사 바르게 알리자" 문체부, 반크와 맞손
- 뮤비·드라마 촬영지 한눈에…한류관광 대표코스 51선 선정
- 관광공사, 사우디 국제관광박람회 참가…관광객 방한유치 총력
- '겨울연가' 상륙 20주년…日 3대 도시서 ‘K-관광 로드쇼’ 개최
- "RM숲 보러 왔어요"…난지한강공원에 1만㎡ 스타숲 조성
- 웰컴 대학로‧롤드컵…문체부 ‘K-컬처 관광 100선’ 선정
- "한복 문화 확산에 기여"…문체부, 기관·유공자 표창
- 실감콘텐츠 명소 ‘광화시대’, ‘K-컬처 스퀘어’로 새 단장
- 문체부, 여성 과장 비율 54.4%…중앙부처 평균 2배
- ‘갓’한민국으로 오세요…‘한국방문의해’ 공식 로고 공개
-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K-팝·한식·한류스타
- “웹툰 불법 유통은 그만” 콘진원·저작권보호원·만화가협회 맞손
- K-드라마·예능 중화권 수출 기지개…홍콩 필마트에 한국관 운영
- “‘우영우’ 성공 비결은…” 에이스토리 한세민 사장, 中 포럼서 연설
- 대한항공, YG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 MOU
- ‘더 글로리’ 이을 콘텐츠 집중 육성…문체부, 정책 방안 논의
- ‘예술 활동 증명’, 더 빨리 받는다
- K-팝 재도약 위한 방안은?…문체부, 현장 목소리 듣는다
- 콘진원-장문원, 장애예술인 발굴 위해 MOU 체결
- 콘진원, ‘스토리 공모대전’ 접수…총상금 3억2500만원
- 콘진원-주일한국문화원, ‘한류 20주년’ 특설 홈페이지 개설
- 13개국 문화예술·콘텐츠 인사 15명 방한…K-컬처 체험
- 콘진원, ‘한류 20주년’ 기념 한일 콘텐츠 비즈니스 포럼 개최
- BTS 10주년 기념 성지투어 오세요…‘서울방탄투어’ 지도 제작
- “BTS 성지 투어하고, 한정판 앨범 받아 가세요”
- '슈가 콘서트·워터밤' 잠실에 10만명 집결…“대중교통 타세요”
- ‘케이팝 슈퍼 라이브’ 8월 부안 개최…170개국 청소년 집결
- 카카오엔터-SM엔터, 북미 통합 법인 출범…글로벌 공략 박차
- BTS 소장품 전시…서울디자인재단·이랜드뮤지엄 MOU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