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어명소 국토교통부 2차관,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 김승준 대우건설 상무, 박태하 제주항공 단장. 사진=대우건설
(왼쪽부터)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어명소 국토교통부 2차관,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 김승준 대우건설 상무, 박태하 제주항공 단장. 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은 제주항공과 22일 K-UAM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을 위한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항공기 운항, 교통관리 및 버티포트의 세 분야에 대한 통합운용 실증목적으로 진행됐으며, 오는 2025년 K-UAM 사업이 본격적으로 상업화되기 전, 기체 및 항공법의 안전성을 검증해 국내 여건에 맞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분야의 기술, 성능, 운용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체결 됐다.

협약식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가 서명했다.

아울러 협약식에는 총 7개의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각 컨소시엄은 올해 8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전남 고흥의 UAM 전용 시험장에서 1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1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무사히 통과한 컨소시엄은 2024년 7월 2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까지 참여하게 되며, 모든 그랜드챌린지 통합운용 실증이 완료된 기업에 한해 수도권과 지자체에서 UAM 시범노선 운영사업이 수행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우건설-제주항공 컨소시엄은 최종적으로 UAM 운영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번 그랜드챌린지 협약식을 통해 첫 발을 내딛었다"며 "대우건설은 7개 컨소시엄 중 유일하게 건설업계 주관사로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컨소시엄에서 대우건설은 UAM의 공항 역할인 버티포트 설계·시공·운영과 버티포트 내 구축될 교통관리 시스템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합리적인 가격정책과 항공 여행의 대중화를 실현한 항공 업계의 혁신 기업으로 항공 운항 주관과 교통관리 관련 부분에서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휴맥스모빌리티는 버티포트 내 비행 기체 배터리충전기와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운영에 참여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의 실증용 항공기는 미국회사인 Beta Technologies의 ALIA-250을 이용할 예정이다. ALIA-250은 운전자 1인을 포함해 총 6인이 탑승가능한 기체로, 이번 그랜드챌린지 협약식에 참여한 7개 컨소시엄의 기체들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또한 Beta Technologies는 미공군에게 시험비행 등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지난 2022년에는 미국 대륙 횡단 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는 "대우건설은 한국 메이저 건설사 역량을 활용해 K-UAM 산업 기대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며 "대우건설의 인프라 시설 설계 및 시공 능력의 특장점과 국내 최대 LCC항공사로써 오랜 항공사업을 통해 축적된 제주항공의 노하우를 통해 시너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