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리츠증권이 리테일 사업 강화를 위해 상장지수증권(ETN)에 주력하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ETN 시장 확대를 위해 개인투자자가 보다 쉽게 ETN에 대해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ETFN 투자 클라쓰’ 강의를 진행 중이다.
메리츠증권은 21일 ‘ETFN 투자 클라쓰’가 1~9강까지 누적 조회수 20만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9강: ETF와 ETN을 활용한 자산관리’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성향에 맞춰 주식뿐만 아니라 ETF와 ETN을 통한 자산관리 전략 필요성에 대해 알려준다.
ETN은 상장지수펀드(ETF)처럼 기초지수 수익률과 연동하는 파생결합증권이다. ETF와는 달리 증권사가 발행하고 만기가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증권사 신용으로 발행하기 때문에 관련 요건을 충족해야만 발행 가능하다. 증권사의 ETN 발행 자격은 자기자본 5000억원 이상, 순자본비율 150%, 신용등급 AA- 이상 등이다. 최근 가격변동성이 급변하고 있는 원유, 천연가스와 같은 원자재 상품뿐만 아니라 국내외 시장 대표지수, 채권 등 다양한 ETN 상품들이 출시되며 ETN 시장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2021년 6월 ETN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시장 진출 이후 다양한 국내 최초 ETN 상품들을 대거 출시하며 62종으로 2년 연속 ETN 상품 발행 1위를 달성했다. 특히 채권형 상품을 통한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다.
ETN 시장에 상장된 38종 채권형 ETN 중 상위 36종이 메리츠증권에서 상장한 ETN이며, 2022년 12월 21일 국내 최초로 3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상장한 ‘메리츠 3X 레버리지 국채 30년 ETN’은 1개월만에 지표가치총액이 300억원을 넘어서며 큰 인기를 끌었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개인 투자자가 보다 다양한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ETN 판매잔고 및 일간 거래대금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며 “메리츠증권은 앞으로도 국내 최초 ETN 상품들을 출시하고 유튜브를 통해 ETN에 대한 투자자 접근성을 높여 시장을 확장시키는데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ETN 시장은 아직까지 개인투자자에게는 생소한 투자상품으로 자산운용사들이 운용하는 ETF(상장지수펀드) 시장 대비해서는 시장 규모가 미흡한 편이다.
ETF는 지난 1월 31일 기준 순자산총액이 86조원으로 지난 2002년 4개 종목 3,444억원으로 시작해 연평균 30% 넘게 성장해왔다. 그에 반해 상장지수증권(ETN)은 지표가치 총액 10조2,995억원으로 ETF와 비교해 8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다.
- 메리츠증권 '365 All Day’ 미국주식 주간거래 이벤트 진행
- 메리츠증권, ‘1兆 클럽’ 진입…악재 속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메리츠증권, 설 연휴 기간 해외 데스크 24시간 운영
- 메리츠증권, 신년맞이 ‘슈퍼365 계좌’ 입소문 이벤트 실시
- 롯데건설, 메리츠증권과 1.5조원 투자 협약
- 메리츠증권, 신용거래융자 이자율 최고 2.4%p 인하
- 메리츠증권, 투자전문가가 선택한 특화상품 서비스 ‘M PICK’ 론칭
- 메리츠화재, 두 마리 토끼 잡는 혁신금융 '보이는TM' 개시
- 메리츠증권,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무료 신고대행 서비스 실시
- 메리츠증권, '미국채 10년·30년물 추종 ETN(H)' 시리즈 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