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T가 양자난수생성 기능과 암호통신 기능을 통합해 제공하는 차세대 보안칩을 출시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3 현장에서 선보인다.
SK텔레콤은 SK스퀘어의 자회사인 IDQ, 국내 토종 보안기업 케이씨에스와 함께 개발한 양자난수생성기(QRNG) 칩과 암호통신기능의 반도체를 하나로 합친 '양자암호원칩'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양자암호원칩(원칩)은 IoT 기반의 다양한 제품과 장치에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초경량, 저전력 칩이다. 양자 기반 암호키 생성 기술과 함께 물리적 복제방지 기술(PUF) 등 강력한 보안 기술이 적용됐다.
원칩의 가장 큰 장점은 강력한 보안이다. 케이씨에스의 기존 칩은 국정원으로부터 전체 2등급 암호모듈검증(KCMVP)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 암호칩 중에서 가장 높은 보안등급이다. 여기에 양자난수생성기능을 더한 하드웨어 양자 암호칩이 양자난수 기반의 고성능 암호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원칩은 국방, 공공 시장의 다양한 제품에 활발히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난수생성기와 암호통신기능을 담당하는 2개의 칩을 1개의 칩으로 통합해 경제적 효율과 탑재 편의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원칩은 양자난수생성기 칩과 암호통신기능 칩 2개를 각각 구매하는 것보다 30% 저렴하다. 또한 기존 2개의 칩을 각각 탑재할 때보다 집적도가 향상돼 보드 사이즈가 20% 감소해 IoT 등 소형 기기 탑재가 용이하다.
원칩은 현재 국가정보원 보안인증을 획득하는 중으로, 기존에 국가정보원 보안인증을 받았던 KCS암호 칩(KEV7)에 양자난수생성 기능을 더한 것인 만큼, 인증과정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3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대규모 디도스(DDos) 공격이 활발한 상황에서 2022년 국내 보안시장의 시장 규모는 6조 7195억원으로 2021년 대비 9% 성장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각각 4.8%, 3.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양자암호통신 글로벌시장 규모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9.8%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AI 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공격과 악성코드 대량 생산 등의 가능성이 커지면서 SKT는 원칩을 빠르게 실생활에 적용할 예정이다.
SKT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시행된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의 설치 및 기술기준’ 개정안에 따라 월 패드 보안사업에 원칩을 적용하고 해킹 공격 방어 및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향후에는 공공과 국방 보안 시장 및 글로벌 보안 시장을 적극 공략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 SKT, 탄소중립에 한걸음 더…5G망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
- SK텔레콤·KT·LG유플러스 통신3사, 무료 데이터로 국민 부담 던다
- SKT, 통신데이터에 AI더해 교통혼잡 해결나선다
- 지난해 T멤버십 혜택 누린 고객 3000명 넘어
- SK텔레콤, 글로벌 ESG 평가지표 2년 연속 '리더십A'
- 이동통신 3사까지 선택권 넓힌 리브모바일, 2030에게 가장 인기
- [Daily Pick 유통] 쿠팡, SPC삼립, 도미노피자, 오리온, 하림 外
- 도미노피자, MZ 고객 반값 할인 ‘SKT 0 day’ 프로모션
- SPC 배스킨라빈스, 12월 ‘SKT T day’ 프로모션 진행
-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4656억...전년비 18.5% 증가
- SK텔레콤, ESG 제휴 서비스 '지구를 지킬 때' 런칭
- 삼성·SKT·KT, '2023 MWC'서 신기술 선봬
- SKT-뉴빌리티-SK쉴더스, ‘자율주행 AI순찰로봇’ 공동 개발
- SKT, 이프랜드에 '미스터트롯2' 전용 공간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