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투자증권은 15일 인공지능 기반 리서치 서비스 'AIR(AI Research)' 분석 결과 인공지능(AI) 주식 분석이 중소형주 발굴과 투자정보 사각지대 해소에 활용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에서 개발한 AIR는 기업정보 및 주요 뉴스를 인공지능 뉴스분석 엔진이 분석해 데일리·위클리 리포트 형식으로 제공한다.
지난 2020년 7월 국내주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해 같은 해 10월 미국 주식, 올해 2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로 분석 범위를 넓혔다.
AIR는 출시 이후 2월 10일까지 국내주식 7613개, 미국주식 5626개 종목 코멘트를 내놨다. 중복을 제외한 국내기업만 1689개 종목이다. 전체 국내증시 상장기업의 72%를 다룬 셈이다.
업종별로는 국내주식의 경우 IT(21.5%), 산업재(20.3%), 건강관리(20.3%)가 가장 많았고 미국주식은 경기소비재(21%), IT(18.4%)순이다.
특히 투자정보를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중소형 주식을 폭 넓게 커버했다. AIR가 2022년 한 해 동안 다룬 1173개 국내주식 가운데 85.1%는 시가총액 1조원 미만 기업이다. 국내 증권사가 한 번도 리포트를 발간하지 않은 기업이 523개로 발간 종목의 44.6%에 달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AIR가 다양한 중소형주를 발굴하고 적시에 분석해 정보 부재를 해소하고 광범위한 글로벌 시장의 주제나 이슈 또한 빠르게 제시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