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 있는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했다.
재사는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고 시제를 받들기 위해 지은 집으로,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 임진왜란 당시 경주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무의공 박의장(1555∼1615)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분암(墳庵) 성격의 재사건축이다.
전면에는 ‘덕후루(德厚樓)’라는 편액이 걸린 누문이있고, 안쪽은 ‘집희암(集喜庵)’ 이라는 편액이 걸린 재사가 위치하며, 덕후루와 집희암 사이는 좌우 익실이 연결되어 있다.
전체적인 배치 형태는 경북 북부지역의 ㅁ자형 건물로, 지역의 건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고, 문루인 덕후루는 중층 누각 건물로 양측 퇴칸에는 위층 온돌방의 구들을 놓았는데 그 형태가 소위, 고상식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집희암은 맞배지붕 양쪽에 가첨 지붕을 달아낸 형태로 이 지역 건축의 조형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고, 실내 천장에 우물마루 형태로 나무반자를 설치한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는 분암으로서의 성격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재사건축이자 불교식 묘제사에서 유교식 묘제사로 넘어가는 의례복합공간으로 당시 사회의 변화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