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콘진원
사진 제공=콘진원

경기침체에 따른 위기 속 콘텐츠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는 ‘콘텐츠산업 2022년 결산 및 2023년 전망 세미나(이하 콘텐츠산업 결산·전망 세미나)’가 7일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이 개최한 이번 콘텐츠산업 결산·전망 세미나에서는 통계분석 결과를 활용해 올 한 해 콘텐츠산업의 주요 성과를 정리했다. 우선 2022년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146.9조원, 수출액은 130.1억달러, 종사자 수 65.7만명으로 예측됐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르별 주요 트렌드 키워드를 제시했고, 이와 함께 분기별로 장르별 주요 이슈를 정리하여 2022년 콘텐츠산업의 흐름을 확인했다.

콘진원 정책본부 송진 본부장은 데이터 분석 자료와 주요 트렌드 흐름을 소개하며 2023년 다가올 경기 침체의 위기 속에서도 콘텐츠산업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며 성장을 이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11월15일 중국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 11월17일 사우디아라비아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와의 관저회담 등을 계기로 향후 K-콘텐츠의 세계진출 또한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콘진원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2023년 콘텐츠산업 전망 키워드 10가지를 발표했다. 정책본부의 구성원들이 참여한 아바타를 활용하여 콘텐츠산업 키워드와 내용, 전망을 소개했으며, 수어 화면을 제공하여 콘텐츠 접근성을 강화했다.

첫 번째 키워드 W 곡선은 경기 침체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즐거움을 누리는 콘텐츠 소비 심리가 증가하며 2023년이 콘텐츠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의미한다. 두 번째 키워드 ‘이탈’ 주의보는 플랫폼 간 경쟁 심화와 외부 활동시간 증가로 인해 떠나려는 이용자를 붙잡기 위한 기업들의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다.

세 번째 키워드 소수에서 자연수로는 콘텐츠 산업 내 핵심 가치로 부상하고 있는 다양성과 포용(Diversity & Inclusion)을 다룬다. 특히 올해 콘텐츠 내용·제작·접근 측면의 D&I 사례들을 통해 모두가 함께 만들고 즐기는 콘텐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콘텐츠산업의 질적 변화와 성장을 예상했다.

네 번째 키워드 본격 가동, K-스튜디오 시스템은 글로벌 가치사슬을 구축한 콘텐츠 기업들의 현지 제작·유통 본격화와 동시에 국내 중소 콘텐츠 제작사들의 IP 보유·수익 배분을 위한 논의가 확대될 것임을 전망하며 K-콘텐츠 재도약을 위한 지원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섯 번째 키워드 콘고지신은 세대와 장르, 형식을 넘어서는 콘텐츠 IP 성공 사례를 통해 핵심 자원으로서 ‘콘텐츠 IP’의 전략적 활용을 조망했다. 

여섯 번째 키워드 당신의 콘BTI는?은 MBTI를 기반으로 2022년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 '콘BTI'를 새롭게 구성하여 이용자 소비 특성을 분석했다. 일곱 번째 키워드인 주문을 받습니다는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요구하고 소비하는 소비자들을 벨덤(벨을 울리는 콘텐츠 팬덤)이라 제시하고, 팬덤과 제작사의 상호작용을 통해 콘텐츠 파워가 더욱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여덟 번째 키워드 K-콘텐츠, 공감과 교류로 지속 확장은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따라 높아진 글로벌 팬들의 기대감과 ‘문화감수성’의 중요성을 짚어보았으며, 아홉 번째 키워드 한 걸음 더, 현실과 가상 사이는 신기술을 활용해 진화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환경과 AI 활용 양상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창의노동, 변곡점에 서다는 콘텐츠산업 내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는 노동 형태를 제시하며 창의인력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발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밖에도 세미나 2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2022년 콘텐츠산업의 이슈를 돌아보고, 엔데믹 시대를 맞이한 콘텐츠산업의 과제를 통해 2023년을 전망했다. 콘진원 조현래 원장은 “2023년은 콘텐츠를 중심으로 기술과 비즈니스가 만나고 연결되며 더 크고 넓은 성장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내 콘텐츠 산업의 독보적인 콘텐츠 IP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활약할 K-콘텐츠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