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FTX의 파산신청 여파로 국내 거래소 고팍스의 자체 예치 상품인 ‘고파이’ 출금이 일주일째 지연되고 있다. 곧 만기가 도래하는 고정형 상품의 만기 준수 여부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23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급격한 시장 불안정성으로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해 고파이 자유형 상품 잔고 전액을 제네시스 트레이딩(제네시스)에 상환 요청했으나 제네시스에서 신규 대여와 상환의 잠정 중단을 발표함에 따라 이행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앞서 고팍스는 상환 요청이 계약에 따라 최대 3일 이내로 이행될 것이라는 제네시스의 확답을 받은 바 있다. 

고파이는 고객이 예치한 코인을 운용해 수익을 낸 뒤 고객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서비스다. 입금과 인출이 자유로운 자유형과 일정기간 돈을 맡길 경우 이자를 지급하는 고정형으로 구성돼 있다. 

고파이 상품 협력사인 제네시스는 지난 16일부터 신규 대출과 환매를 중단하면서 고파이 고객 자산이 묶인 상황이다. 

출금 지연 이후 최초 만기 도래 고정형은 ‘BTC 고정 31일’ 상품이다. 오는 23일 오후 11시 59분 예치가 끝나고 오는 24일 오전 10시 30분에 고팍스는 고객에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고팍스 관계자는 “곧 만기(24일)가 도래하는 고정형 상품의 만기 준수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라며 “보수적으로 상황을 견제하면서 다양하게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협력사(제네시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대로 고객들에게 바로 고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고팍스에서 일반고객 예치자산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코인런’은 발생하지 않았다. 

FTX 사태 이후 국회와 정부는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 법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4일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와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가 ‘디지털자산 시장의 공정성 회복과 안심거래 환경 조성’을 주제로 연 제4차 민·당·정 간담회에서는 미국 FTX 거래소 파산과 같은 사태를 막으려면 고객 예치금 분리 제도를 정비하고 별도 예탁기관 보관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업계는 이번 사태로 당국의 입법 시급성이 명확해졌다며 균형 있는 입법을 통해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면서 “전세계가 디지털경제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입법을 통해 국내 가상자산이 해외산업도 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시장으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