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전환대출이 주택 가격 대상을 6억원까지 올리는 등 신청 기준을 완화했지만 여전히 흥행 부진을 겪고 있다. 폭등한 수도권 집값을 반영하지 않아 조건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11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2단계 안심전환대출 신청 첫날인 지난 7일 총 1864건이 신청됐다. 이는 지난 9월 15일 1단계 안심전환대출을 진행한 첫날 건수 2406건보다 저조한 것이다. 2·3일 차 신청 건수도 각각 1단계 때보다 400여 건씩 낮았다.
안심전환대출은 금리 상승기에 대출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금융권의 고금리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최저 연 3.7%의 주금공 장기·고정금리 대출로 대환(갈아타기)해주는 정책 금융상품이다. 대출금리는 연3.8%(10년)∼4.0%(30년)이고 저소득 청년층은 연3.7%(10년)∼3.9%(30년)가 적용된다.
실제 금융당국은 1단계 안심전환대출 실적이 저조하자 지난 7일부터 신청요건을 완화했다. 주택가격 상한을 4억원 이하에서 6억원 이하로, 부부합산소득 기준은 7000만원 이하에서 1억원으로 확대했다. 대출 한도는 2억50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상향했다.
금융당국은 23만~35만명의 실수요자들이 안심전환대출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하고 올해 연말까지 공급목표를 25조원으로 설정했다.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누적 신청금액은 지난 9일 기준 5조796억원(20%)에 불과해 매우 저조하다.
정치권에서는 주택 가격 기준을 더 늘려서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6일 여당은 당정협의회에서 내년부터 안심전환대출 주택가격 요건을 9억원으로, 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금융위원회는 대상 주택 가격 추가 상향 등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