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회선유줄불놀이’와 ‘보은 뽕나무재배와 누에치기’ 등 총 21개의 사업이 2023년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육성 사업으로 선정됐다.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지역의 가치 있는 비지정 무형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올해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2026년까지 각 지역 무형유산 100종목을 선정하고 지자체와 협업해 지역 대표 문화자원으로 육성한다.
사업 공모에 총 12개 시·도에서 54개 사업계획서가 접수되었으며, 사업 타당성 및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 등에 대한 관계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최종 21건이 선정됐다. 이 중 ‘돈돌라리 발굴·육성’ 등 4개 사업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연속해서 선정된 사업이다.
특히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 등 7개 사업은 지난해 문화재청이 실시한 ‘미래 무형유산 발굴을 위한 국민공모’를 통해 선정된 것으로, 국민들이 선호·공감하는 무형문화유산을 육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주요 선정 사업으로는 뱃놀이와 줄불·낙화·달걀불 등 다양한 불놀이가 결합된 양반층의 풍류놀이인 ‘하회선유줄불놀이’, 진도 지역에서 ‘ㅇㅇ치기’라는 명칭으로 전승되는 기악·민요·지식 등 놀이 문화의 종합체인 ‘진도지역의 치기형 민속놀이’,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불교의 교리를 설명하는 의례인 ‘삼척 땅설법’, 천주교 신자들의 상・장례 의식인 ‘당진 합덕 천주교 연도’, 잎담배 재배 및 건조기술에 관한 지식체계인 ‘제천 엽연초 재배와 건조기술’ 등이다.
지자체들은 이번에 선정된 사업들에 대해 역사, 전승현황, 주변문화 관련 조사·연구나 기·예능 현황 및 전승과정을 영상과 책자로 기록하는 기록화 사업, 학술대회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사업별로 연간 최대 2억원을 지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