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출범 이후 첫 주택공급 대책을 공개했다. 아파트와 비아파트 등 민간 비중이 높아 건설주에 대한 투자자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16일 향후 5년간 270만호 공급목표를 골자로 하는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서울 50만호를 포함해 수도권에 총 158만호의 인허가를 내준다. 비수도권에는 112만호의 허가가 있을 예정이다.

정비사업으로 52만호, 공공택지로는 88만호를 공급한다. 민간의 경우 아파트 66만호와 비아파트 64만호를 설정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도심 내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된 주택은 41만호로 향후 11만호가 늘어난다.

이를 위해 재건축 분담금의 합리적 감면도 추진한다. 구체적인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면제금액을 상향하고 부과율 구간확대에 나선다.

무엇보다 정부는 도심공급을 가장 큰 과제로 내놓은 만큼 신규 정비구역 지정 촉진, 안전진단 제도 개선, 신탁사 정비사업 참여 활성화, 사업지원 및 투명성 강화 등 규제 완화에 나선다.

민간 아파트, 비아파트의 경우 도시개발과 지구단위계획구역 등을 민간 자체추진 사업으로 설정했다.

또한 현재 공공만 추진 가능한 도심복합사업을 민간이 추진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신탁 및 리츠 등 민간 주체 도심, 역세권 고밀 복합개발이 가능하다.

이 경우 용적률은 500%까지 상향해주고 필요 시 규제를 받지 않는 ‘도시혁신계획구역’을 신설해 적용한다.

전문가는 총량보다는 핵심지역 공급 촉진이 이어지는 만큼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KB증권 장문준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핵심지역 수급 불안 이슈 해결점을 민간 활성화에 의한 공급촉진에서 찾고 이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270만호 공급은 착공이나 분양이 아닌 인허가 기준으로 부동산 정책은 다소 호흡이 길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기에 실질적 효과를 체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조언했다.

전일 건설업종이 하락 마감한 데 대해 장 연구원은 “정책 이벤트 소멸로 장중 주가는 부진했으나 정부의 중장기 핵심지역 공급의지를 확인했다는 점과 민간 역할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밸류에이션 매력 기반 업종 비중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조영환 연구원은 “정비사업 중심 주택 공급을 고려했을 때 브랜드 경쟁력이 높은 대형 건설사 위주의 모멘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조 연구원은 “6월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개편안 발표를 통해 주로 정비사업 분양 활성화를 위한 규제안을 제시했고 하반기에는 지연됐던 정비사업지 분양이 점차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정비사업 중심 주택 공급을 고려했을 때 브랜드 경쟁력이 높은 대형 건설사 위주 모멘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