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은 파리-인천구간 국제선 정기편 노선에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 항공연료(Sustainable-Aviation Fuel)를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의 화석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 기름, 해조류, 도시 폐기물 가스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다. 화석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존 항공유보다 2~5배가량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서의 탄소배출량을 기존 항공유에 비해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SAF의 사용량은 생산시설과 공급망 부족으로 아직 전 세계 항공유의 0.1% 수준에 불과하지만, 최근 프랑스 정부는 자국내 항공유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최소 1%의 SAF를 혼합해 공급하도록 법제화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SAF혼합 공급으로 인한 비용증가 우려에도 항공산업의 탄소배출 감축과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 필요성에 공감해 파리-인천정기편 노선에 SAF도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SAF를 사용해 미국 시카고-인천 구간을 한차례 운항한 바 있으나, 정기편 노선에 SAF를 도입하는 것은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대한항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지속 협력 중에 있으며, SK에너지로부터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될 탄소중립 항공유도 구매한 바 있다.
또 지난 2월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버스, 에어리퀴드와 '항공업업계와 항공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탄소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 LG화학, 고려대와 친환경 소재 공동 연구개발 MOU 체결
- 현대차그룹,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택시운행정보 시스템 공동개발 MOU 체결
-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 카이스트 명예 과학기술학박사 학위 수여
- [출근길 5분 뉴스] 뉴욕증시↓·코로나10만명·라임운용파산·신라젠·아이스크림담합·韓재정빨간불·결산법인깨알검증·아파트값·SK사외이사·명지대파산위기·오스템임플란트상폐위기·농지연금 등
- 삼양그룹 양영·수당재단, 2022년도 장학금 전달
- 대한항공, 4월 말까지 러시아 노선 중단… 우크라 사태 안전 우려
- 대한항공, 2022년 정기 임원인사 단행
-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 운항시스템 개발 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