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생명이 RPA 2단계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사진=NH농협생명
NH농협생명이 RPA 2단계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사진=NH농협생명

NH농협생명이 지난 6개월간 RPA 2단계 프로젝트 실시 결과 31개 업무에서 연간 업무량 4만4087시간 절감 효과를 거두었다고 26일 밝혔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프로세스자동화)는 사람이 수행하던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복제하여 자동으로 업무를 처리해주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RPA 기반 업무 자동화가 구축되면 단순반복 업무를 경감시켜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만들고 오류 가능성도 제거할 수 있다. 

대표 사례는 금리연동형 상품에 대한 책임준비금 검증 자동화다. 기존에는 검증대상이 150만건 이상으로 방대하고 복잡해 샘플검증을 하던 업무다.

농협생명은 RPA 도입을 통해 이를 전수검증으로 변경하고 컴플라이언스 측면의 대응력도 대폭 강화했다.

이밖에도 ▲정보보호시스템 일일 점검 ▲가입설계 시 해지환급금 정합성 검증 등의 업무에 적용했다.

특히 새벽, 휴일 등 업무 외 시간에 처리하던 업무도 RPA를 통해 처리가 가능해지며서 적시에 후속처리를 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단순반복적 업무를 RPA로 대체하면서 기존 인력은 고부가가치 업무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수 있게 됐다.

농협생명은 지난 4월에 완료한 1단계 10개 업무를 포함해 이번 RPA 2단계 프로젝트를 총41개 업무에 적용했다.

아울러 RPA 업무 분석부터 설계, 개발까지 전 과정 교육을 통해 RPA 전문인력을 육성해 내부직원 주도로 RPA 프로젝트를 실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김인태 대표이사는 “앞으로 RPA 적용 업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직원들이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