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트진로가 지난 2019년 강원공장 내 폐수처리 설비를 환경 친화적인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로 교체한 후 지난 2년간 강원공장에서만 온실가스 약 4,020톤(t) Co2를 감축하는 효과를 거뒀다고 13일 밝혔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4,020톤(t) Co2 감축은 약 112만평(축구장 150개 넓이)에 식재한 소나무 숲이 1년간 흡수하는 탄소의 양과 같다.

혐기성 소화조는 맥주를 생산할 때 배출되는 부산물과 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해 정화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보일러 등의 연료로 재사용해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친환경 폐수처리 시스템이다. 

하이트진로는 1992년 맥주 공장에 폐수처리를 위한 소화조를 설치하고 환경을 고려한 생산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설비를 지속적으로 교체하며 폐수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왔고 지난 2009년에는 맥주업계 최초로 IC Reactor를 전주공장에 도입해 폐수처리효율을 매년 60% 이상 개선해왔다.

전주공장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9년에는 강원공장에 대규모 혐기성 소화조 설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지난 2년간 ▲폐수처리효율이 기존 55%에서 87%로 향상 ▲발생하는 폐기물 40% 이상 감소 ▲정화 과정 중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의 양이 3배 이상 증가했다.

그 중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 재사용으로 기존 LNG 사용량은 줄었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폭 감소했다.

이 외에도 혐기성 소화조 운영의 핵심인 미생물을 철저하게 관리한 결과 양질의 미생물을 추가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배양된 미생물들은 필요한 사업장에 분양, 판매해 안정적인 친환경 폐수처리 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김인규 하이트진로 대표는 “제품의 생산 단계부터 ‘청정’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친환경 사업장으로 변화하는데 앞장서 왔다”며 “ESG 경영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고민하며 지속가능한 친환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원공장은 지난 2011년 환경부가 지정하는 녹색기업 인증을 받은 후 지금까지 10년째 유지하고 있다.

지난 4월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은  미생물을 활용한 고효율 폐수처리시설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를 안정적으로 운영, 관리해 미생물을 첫 출하했다. 사진=하이트진로
지난 4월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은 미생물을 활용한 고효율 폐수처리시설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를 안정적으로 운영, 관리해 미생물을 첫 출하했다. 사진=하이트진로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